C&그룹 수사..우리은행, 산업은행 희비 엇갈려
2010-11-03 임민희 기자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낸스=임민희 기자] C&그룹(회장 임병석)의 불법 비자금 조성의혹을 조사 중인 검찰이 관련 금융기관의 '특혜성 부당대출'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수사를 확대하면서 금융권에 희비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특히, C&그룹에 수천억원대의 대출을 해준 것으로 알려진 일부 금융기관은 '특혜성 논란'에 휩싸이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당시 C&그룹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 등을 조건으로 대출을 제안했다가 임병석 회장의 거부로 대출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산업은행(행장 민유성) 측은 안도감을 나타내고 있다.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과정에서 분식회계로 은행에서 거액을 빌리고 계열사에
부당 자금거래를 지시한 혐의로 구속된 임병석 C&그룹 회장(사진-연합뉴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C&그룹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기 불과 두 달 전인 2008년 10월, C&그룹의 전체 대출액 1조3052억원 중 17%에 달하는 2천247억원을 대출해 준 것으로 알려진 당시 우리은행 관계자들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박해춘(현 용산역세권개발 회장) 전 행장의 재임시절(2007년 3월~ 2008년 5월) C&그룹이 같은 시기에 그의 동생인 박택춘 씨를 C&중공업 사장(중국총괄경리)으로 발탁한 배경에 주목, C&그룹과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실제로, C&중공업은 자금난을 겪던 2008년 1~3월까지 우리은행에서 세 차례에 걸쳐 250여억원을 대출받았다.
검찰은 박 전 행장을 비롯해 우리금융그룹 전직 임원과 정관계 고위 인사의 개입여부도 조사 중이다.
한편 우리은행 측은 채권보존과 여신승인 절차를 거쳤다며 특혜 대출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박해춘 전 행장 역시 최근 언론을 통해 "이미 감사원 감사에서 '무혐의'로 결론이 난 사안"이라며 "적법절차대로 했을 뿐 부당대출을 지시하거나 어떤 대가도 받은 적이 없다"고 관련 혐의를 모두 일축한 바 있다.
검찰이 C&그룹의 금융권 특혜대출 의혹과 관련, 전 금융권으로 수사를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금융권 전체가 불똥이 튀지 않을 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이번 비자금 의혹 사건이 불거지면서 C&그룹 계열사 등에 조금이라도 대출이 나간 금융기관은 조바심을 내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산업은행 관계자는 "당시 C&그룹 측에 부실 계열사에 대한 정리 및 과감한 자산 매각 등 강력한 구조조정을 조건으로 대출을 제안했다가 거절당한 적이 있는데 지금은 여신행위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안도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만일 C&그룹측이 산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면 아마 대출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며 "당시 거래가 성사되지 않은 것이 전화위복처럼 여겨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업은행 고위직 출신 일부가 임 회장 관련 기업에 적을 둔 적이 있어 이 은행의 대출이 무산됐다고 해서 무조건 안도만 할 수도 없다는 게 금융계의 시각이다.
한편, C&그룹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조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임병석 회장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C&상선과 C&해운, C&KCL 등 계열사 자금을 빼돌려 100억여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보고 자금의 흐름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