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노후 아파트 36% 강남4구 집중

2010-11-24     유성용 기자

수도권에서 재건축 추진이 가능한 노후 아파트의 3분의 1 이상이 강남권(강동구 포함)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재건축 추진 가능 연한에 도달한 아파트는 총 32만8천761가구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 이른바 강남4구가 전체의 36.5%인 11만9천972가구를 차지했다.

서울 아파트의 재건축 가능 연한은 1981년 12월 31일 이전에 준공한 경우 준공일로부터 20년, 82년 1월부터 1991년 12월 말까지 준공된 5층 이상 건축물은 준공연도에 따라 22~40년이 차등 적용된다.

강남구의 재건축 대상은 총 4만4천146가구로 강남구내 전체 아파트(10만3천91가구)의 42.8%를 차지했다.

이어 서초구 2만6천769가구, 강동구 2만5천140가구, 송파구 2만3천917가구, 영등포구 1만2천169가구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에서는 안양시가 1만1천61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과천시 9천754가구, 부천시 9천559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과천시는 과천지역 전체 아파트(1만3천558가구) 가운데 71.9%가 재건축 대상이어서 노후도가 가장 높았다. 인천은 부평구가 8천138가구, 남구가 8천4가구 등이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재건축 단지가 강남권에 집중된 것은 이들 지역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간이 갈수록 재건축 연한에 도달하는 아파트가 늘면서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