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11개구 전세가율 2006년 3월 이후 최고
전셋값 강세가 지속되면서 서울 강남(한강이남) 지역의 전세가율이 5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일 국민은행의 월별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남 11개구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42.1%로, 2006년 3월(42.6%)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바닥이었던 작년 1월(35.9%)보다는 6.7%포인트 높아졌다.
전세가율은 전셋값을 매맷값으로 나누고 나서 100을 곱한 것으로, 예로 42.1%는 아파트 값이 10억원일 때 전셋값은 4억2천100만원이라는 것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가격 차이가 작다는 것이다.
강남지역 전세가율은 매년 12월을 기준으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46.7%에 불과했으나 2001년 59.8%로 치솟으며 아파트 값을 끌어올리는 원인이 됐다. 이후 매매가격이 폭등하면서 전세가율도 2002년 50.5%에서 2008년 36.4% 등으로 서서히 하락했다.
국제 금융위기 이후 상승세가 꺾인 수도권의 아파트 값은 여전히 약세를 보이는 반면 전셋값은 비수기임에도 강세가 지속돼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
지난달 강북 14개구의 전세가율은 46.3%로, 2008년 2월(46.9%)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지난해 1월(41%)에 비해서는 5.3%포인트 상승했다.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도 지난달에는 44%로 높아져 2006년 11월(43.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11월 전국 평균 전세가율도 56.8%로 2006년 4월의 57.1% 이후 55개월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매매·전세가격의 격차는 여전히 큰 편으로 보인다"며 "전셋값 상승세가 매맷값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지는 좀 더 시장 상황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