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서 호주 바가지 쇼핑 1인 시위하겠다"
겨울 성수기를 맞아 따뜻한 호주로 해외여행을 떠나는 소비자들이 많다. 호주 패키지 여행시에는 무엇보다 건강식품 바가지 쇼핑을 주의해야 한다.
여행 가이드가 여행객들을 건강식품 쇼핑센터로 안내하고 이곳에서 허위 과장 광고로 뻥튀기 가격의 제품을 판매한다는 것. 건상식품 쇼핑센터 운영자들이 대부분이 한국인이며 세관원이나 의사로 자칭하는 사람들이 현란한 용어를 동원해 가며 여행객들을 현혹한다고 피해자들은 증언하고 있다.
나중 귀국해 속아 산 것을 알게 되더라도 환불은 하늘의 별 따기다. 허위 과장 광고는 증거가 없고 가격은 판매자의 재량에 속하는 문제여서 환불의 이유가 되지 못한다. 단순 변심으로 환불할 경우 국경의 제약 때문에 시일이 오래 걸리고 절차가 복잡해 대부분 스스로 포기하게 된다.
건강식품에대한 정보와 지식을 갖고 바가지 쇼핑에 대응하는 요령이 필요하다. 피해자가 늘면서 최근 포털사이트에 피해자 카페까지 개설돼 여행객을 상대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7일 경기도 용인의 김 모(여.27세)씨에 따르면 그는 지난 11월 초 일주일간 자유투어의 호주-뉴질랜드 연계 상품으로 여행을 다녀왔다. 김 씨는 호주 시드니에 도착한 뒤 자신의 부인이 시드니대학에서 약학을 전공했다는 현지 가이드를 만났다.
김 씨에 따르면 현지 가이드는 의사들이 호주로 세미나를 오면 전문적으로 통역을 맡고 있는데 잠시 나왔다며 고혈압에 좋다는 폴리코사놀 홍보에만 열을 올렸다. 마지막 일정에는 폴리코사놀, 태반약 등을 판매하는 쇼핑센터에 데려갔다.
김 씨는 "쇼핑센터에 들어갔더니 세관에서 통제하는 곳이기 때문에 신분증을 복사해야 한다며 여권들을 수거해갔다. 그런 뒤 세관직원이라는 한국사람이 다가와 세관절차를 설명해 신뢰를 주더니 약을 팔기 시작했다. 1통에 40만원짜리를 3통을 1팩으로 묶어 120만~150만원씩 판매했다. 무엇에 홀린 것처럼 여행객 10명 중 8명이 250원 가량을 구입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함께 약을 산 김 씨는 돌아오는 버스안에서 바가지쇼핑이 의심돼 가이드에게 환불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귀국한 후 김 씨가 환불을 받기위해 쇼핑센터에 전화하자 대부분 한국인이 받았다. 김 씨는 여행상품을 판매한 자유투어 측에 집요하게 환불을 요청, 환불 확약서까지 받았다.
그러나 쇼핑센터 측은 이핑계 저핑계로 환불을 미루고만 있다.
김 씨는 "인천공항에 가서 호주여행시 바가지쇼핑을 주의하라고 1인 시위라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호주여행중 건강식품 바가지 쇼핑을 당했다는 소비자는 이 씨뿐이 아니다. 피해자가 늘면서 네이버.다음등 포털사이트에 호주여행 바가지쇼핑 피해 예방 카페가 개설돼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호주 브리즈번에 거주하고 있는 장경찬(남.41세)씨는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호주여행 바가지쇼핑 바로잡기(http://cafe.daum.net/nobagagi)'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장 씨는 본지와의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바가지쇼핑이 근절되려면 '여행업 정상화'가 선행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씨는 "2005년 약 1년 동안 호주 골드코스트에서 가이드를 하면서, 시드니를 거쳐 오는 여행객 대부분이 정체불명의 약보따리를 들고 오는 것을 목격했다. 나도 당시 골드코스트에 있는 일명' 양모공장'에 여행객을 데려가는 것이 가이드로서 가장 중요한 임무였는데, 이런 비정상적인 쇼핑 여행이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고 카페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장 씨는 "2006년 네이버에 관련 카페를 만들었다가 명예훼손 및 엉무방해로 경찰에 고소까지 당했다. 결국 무혐의 통보를 받았지만 네이버 카페를 접게 됐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카페활동을 하지 못하다가 지난해 말부터 다시 다음에 카페를 개설해 호주여행시 건강식품 바가지쇼핑에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고 말했다.
장 씨는 비정상적으로 싼 패키지여행은 바가지쇼핑으로 부족한 마진을 채운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같은 얄팍한 상술을 바로 잡으려면 환불 받는 것에만 급급해하지 말고 호주정부나 한국관광공사 등에 이를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