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 응급실 도착, 평균 13시간44분"
2010-12-20 양우람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개 급성기 뇌졸중 진료기관의 서비스 실태를 평가한 결과 뇌졸중 초기증세 발생후 응급실까지 도착하는 소요시간은 평균 13시간44분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08년 평가 당시의 10시간52분보다 2시간52분이나 늦어진 것이다.
뇌졸중 환자 가운데 3시간 이내 병원에 도착하는 환자는 전체의 43.3%로 2008년 49%보다 5.7%포인트 줄어들었다.
구급차로 이송되는 비율은 56.1%에 불과했으며, 구급차를 이용하는 환자는 53.6%가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했다. 반면 구급차를 이용하지 않으면 29.7%만 3시간 이내에 도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세포는 단 몇분간만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도 손상을 입고 한번 죽은 뇌세포는 다시 살릴 수 없기 때문에 뇌경색 급성기에는 뇌혈관을 막는 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를 증상발생 3시간 이내에 정맥을 통해 주사해줘야 한다.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는 "뇌졸중은 증상이 의심되면 일단 빨리 병원을 찾아 뇌출혈인지, 또는 혈전으로 막힌 뇌경색인지를 진단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초기치료를 받아 사망이나 장애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뇌졸중 예방을 위한 9대 수칙>
1. 담배는 반드시 끊는다.
2.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인다.
3.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한다.
4. 가능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한다. 5.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한다.
6.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한다.
7.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한다.
8.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한다.
9. 뇌졸중의 응급증상을 숙지하고 발생시 즉시 병원에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