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등 4개사 수십억 리베이트 혐의로 경찰조사중
제약업계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쌍벌제 도입에도 불구 유력 국내 제약사들의 리베이트 관행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제약사들은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거나 이미 리베이트 공여 행위가 사실로 드러나 법원으로부터 과징금 처분이 내려진 상태이다.
국내 최대 제약사인 동아제약은 최근 '기프트카드 리베이트'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동아제약은 2008년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경남 지역 공보의를 대상으로 1회 5만원에서 500만원까지 사용이 가능한 기프트카드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현금으로 환산하면 약 10억원에 달해 본사 고위 인사들의 개입여부도 의심되는 상황이다.
동아제약외에도 현재 4개의 제약사가 같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사건을 수사 중인 거제경찰서 관계자는 “수사방침 상 실명을 공개할 수 없지만 총 4개의 제약사에 대해 수사가 진행중”이라며 “모두 국내 10대 제약사에 속해 있으며 언론에 공개된 것과 비슷한 혐의로 수사망에 올랐다”라고 말했다.
현재 거제경찰서는 뇌물을 수수한 지역 공보의 4명과 제약사 직원 4명을 구속해 사건 경위를 파악 중이다.
아주약품 역시 현재 인천 지역 국공립병원 의사들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인천계양경찰서는 아주약품이 인천 국공립병원 14개소 의사들에게 처방을 댓가로 금품을 제공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인천계양경찰서 관계자는 “판매액수 일부분을 의사에게 돌려준 내역이 담긴 컴퓨터 파일과 영업사원 증언을 확보했다”며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관련자 60명 가량이 줄소환 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에 앞서 한미약품, 유한양행, 녹십자 등 상위 제약사들은 정부의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공표 이후 병의원 등 관계기관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업체별로 ▲동아제약(45억3100만원) ▲유한양행(21억1900만원) ▲한미약품(50억9800만원) ▲녹십자(9억6500만원) ▲중외제약(32억300만원) ▲국제약품(4억37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일부 업체가 공정위를 상대로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은 원고 패소 결정을 내렸다.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이후에도 업계의 오랜 악습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쌍벌제 도입으로 음지의 리베이트가 더욱 활개를 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며 “복지부가 관련 법 하위조항을 더욱 구체적으로 다듬어 이같은 우려를 씻어 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양우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