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vs 삼성증권" 라이벌 열전 돌입?
최근 삼성증권(대표 박준현)측 관계자가 미래에셋증권(대표 최현만)과의 자산관리 실적 비교를 통해 자사를 부각시키고 미래에셋을 깎아내리자 미래에셋증권측은 누가 뭐라든 자사 나름의 전략이 옳다면서 상성증권측의 주장을 일축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최근 증권업계에서 랩 어카운트로 큰 돈을 벌어들인 삼성증권과 펀드분야 업계 최고를 자랑하는 미래에셋간의 자존심 경쟁 양상을 띠고 있어 향후 양사간 대결이 주목된다.
삼성증권측은 지난 17일 증권업에 대한 분석자료에서 랩어카운트 열풍을 진단하고 미래에셋증권과의 실적비교를 통해 자사의 실적을 부각시켰다. 금융관행상 타사 실적과 직접 비교해가며 자사 실적은 자화자찬하고 경쟁사 실적을 대놓고 지적하고 평가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간주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증권의 자문형 랩 잔액은 1조5천910억원으로 미래에셋증권의 4천160억원과 격차가 크며, 자산관리 수수료 실적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삼성증권의 장효선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래에셋증권은 펀드 판매 감소분을 랩어카운트로 보완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성증권은 3분기에 랩과 수익증권판매를 합한 자산관리 수수료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측은 삼성증권의 이와 같은 비교 분석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랩어카운트는 자문형랩으로만 구성된 것이 아닌 종합적인 상품이기 때문에 삼성증권의 비교 분석에 개의치 않는다는 입장이다.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주식형 펀드 외에 다양한 상품으로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삼성증권과 미래에셋의 최근 랩어카운트 총 잔액은 각각 2조7천40억원과 2조3천640억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삼성증권이 국내 최대 대기업 그룹의 계열사라면 미래에셋증권은 나홀로 성장한 증권사임을 감안하면 미래에셋 증권의 실적이 결코 크게 뒤지는 수준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이런 가운데 미래에셋증권은 랩어카운트가 일부 대형사에만 수혜가 집중되는 상품이라고 평가한 삼성증권과 달리 투자자의 투자성향과 투자목적에 맞춰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운용한다는 점에서 '선진국형 금융 투자수단'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랩어카운트가 추가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미래에셋증권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증권은 랩어카운트를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자산관리의 수단으로 보고 누가 뭐라든 자신들에 맞는 전략을 취한다는 방침이다.
미래에셋증권의 한 관계자는 "자사는 유행하는 특정 랩어카운트에 집중적인 전략을 취하는 것이 아닌 종합자산관리형, 펀드운용형, 주식운용형, 자문형 등으로 세분화하고 고객에게 맞는 랩어카운트를 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랩어카운트를 자산관리수단으로 활용할 전략"이라고 전했다.
삼성증권측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분석비교에 개의치 않고 의연하게 '마이 웨이'를 걷겠다는 게 미래에셋측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어떤 라이벌 열전을 펼칠지 주목된다. 삼성증권측의 공세적 비교분석과 펀드분야 최고를 자랑하는 미레에셋의 차분한 대응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낸스=김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