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 중독되면 당뇨 등 대사증후군 위험 증가
정상 체중인 여성도 탄수화물 섭취가 많을수록, 단백질 섭취가 적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팀은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정상 체질량지수(BMI 18.5~24.9)를 가진 성인 3천50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몸에 좋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의 혈중수치가 40㎎/㎝ 이하이면서, 혈압(130/85 mmHg), 혈당(110㎎/㎗), 혈중 중성지방(150㎎/㎗)은 높고 복부비만(90㎝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데 보통 이중 3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된다.
이번 연구에 의하면 정상 체중 여성은 탄수화물 섭취가 59.9% 이상일때 그 이하로 탄수화물 섭취를 하는 그룹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2.2배 증가했다. 현재 한국영양학회에서는 총 칼로리의 55-70%를 탄수화물, 7-20%를 단백질, 10-25%를 지방으로 섭취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단백질의 경우는 총 칼로리의 17.1% 이상을 단백질로 섭취한 그룹이 12.2%의 비율을 섭취한 그룹에 비해 대사 증후군 위험이 40% 감소했다.
박 교수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전통 한국식의 탄수화물 비율이 총 열량의 65-70% 정도인 점을 감안할때 정상 체중 여성일지라도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좀 더 늘려야 한다는 의미"라며 "탄수화물 적정 섭취의 기준을 좀 더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정상 체중인 남성은 지방이건 탄수화물이건 대영양소의 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에 큰 차이가 없었다.
간식 섭취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해 박 교수는 "하루 2-3회 정도의 간식 섭취는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적으로 볼 때는 간식을 먹지 않는 사람에 비해 간식을 자주 할수록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낮았다"면서 "하지만 낙농제품이나 가열 조리한 간식보다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간식을 섭취한 경우는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30% 가량 증가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간식으로 과자, 빵, 케이크, 떡, 국수, 과일, 과일주스 등을 꼽았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