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양말 등 6년간 가격 전혀 안올라

2011-01-21     김솔미기자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물가도 가파르고 있는 가운데 최근 6년동안 전혀 가격이 오르지 않은 품목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가운데 통계방식 오류로 인한 무변동도 눈에 띄지만 체감상 오르지 않은 것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보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안경 양말 손목시계 보일러 수리비등의 품목들은 2005년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72개월 연속 가격이 변동하지 않았다.

  
조사에 따르면 부산의 안경테 물가지수는 2005년 1월 '100.0'이었는데 지난해 12월에도 100.0을 유지해 6년 동안 0.1%의 가격변동도 보이지 않았다. 부산 안경테 물가지수는 지수 개편 이전인 2004년 2월부터 10개월 동안에도 '100.000'을 기록해 사실상 가격변동이 없는 기간은 6년 10개월에 이른다.

 
서울 안경테 지수도 2005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100.0'으로 4년4개월 동안 전혀 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2009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는 '97.2'를 유지했다. 지난 6년 동안 가격이 오르기는 커녕 내린 셈이다.

 
손목시계 역시 서울과 울산, 강원, 충북, 제주 등지에서 지난 6년 동안 가격이 전혀 바뀌지 않았다.

  
양말은 인천에서 6년 동안 가격변동이 나타나지 않았고 서울에서도 2005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양말 물가지수는 '100.0'을 지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서울지역 보일러수리비 물가지수는 6년 동안 변동이 없었고 대전과 제주의 자판기커피 물가지수 역시 72개월 연속 100.0을 이어갔다.

  
식당과 술집 등에서 파는 맥주와 소주 가격은 울산,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지에서는 6년 연속 0.1%도 바뀌지 않았으며 부산과 대구의 노래방이용료도 마찬가지였다.

  
이밖에 생선초밥(인천)과 안경 렌즈(울산), 콘택트렌즈(서울, 부산, 인천, 대전, 울산,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공연예술관람료(부산, 인천, 대전, 충남, 경남, 제주), 레포츠이용료(부산, 광주, 대전, 전남, 제주) 등도 6년 동안 지수가 전혀 바뀌지 않았다.

  
이 가운데 레포츠이용료의 경우 제주에는 실내 빙상장이 조사기간 없었으며 부산의 공연예술관람료는 지난해부터 공립 기관이 무료로 됐으나 역시 반영되지 않아 통계의  신뢰성에 흠집을 낸 사례도 있었다.

  
아동화 물가지수는 2008년 3월부터 줄곧 108.3을 유지하다가 지난해 11월 86.7로 뚝 떨어졌으며 한 달 만인 12월에 108.3으로 원상복귀하는 수상한 흐름을 보였다.

 
한편 실제로 제품의 가격은 바뀌지만, 통계청의 물가조사에서는 전혀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지수산정 방식 때문이다.

  
소비자의 기호가 바뀌거나 생산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조사대상 품목의 규격이 대표성을 상실하면 다른 조사규격으로 바꿔야 하는데 통계청은 이 과정에서 '접속법'을 적용하고 있다.

  
접속법은 조사규격 대체 시점의 지수를 '무변동'으로 처리해 규격을 바꾸더라도 가격의 변동은 나타나지 않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