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우리금융 재매각 발언에 금융권 '촉각'

2011-01-26     임민희 기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과 관련, 재매각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향후 민영화 향배에 금융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최근 우리금융지주(회장 이팔성) 민영화 추진계획에 대해 "시간을 끌지 않겠다"고 단호히 밝혔다.

김 위원장은 취임 직후 공공연하게 "올 상반기 중에 우리금융의 재매각을 시도하겠다"고 밝혀 왔던 만큼 이번 발언은 조만간 '새로운 구상'을 시행에 옮기겠다는 구체적인 의미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금융 민영화 후속방안을 논의 중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사무국 측은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공자위 운영기획팀 관계자는 "지난 12월 17일 우리금융 민영화 매각중단 발표 이후 공자위 내부적으로 향후 추진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며 "아직 민영화를 어떤 식으로 진행할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김석동 위원장의 '올 상반기 매각 추진' 발언에 대해 "신임 금융위원장으로서 우리금융 민영화 이슈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고 검토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달라"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공자위는 오는 28일 전체회의를 열고 우리금융의 경영권을 매각할지, 블록세일 등 지분 분산 매각을 할지 등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달리 금융권에서는 김 위원장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년 넘게 지리멸렬하게 끌어왔던 우리금융 매각 작업은 유력한 인수 후보였던 하나금융지주(회장 김승유)가 돌연 외환은행(은행장 래리 클레인) 인수로 급선회하면서 위기를 맞았다.

거래고객 등 소수 지분 투자자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민영화에 참여했던 우리지주 역시 정부의 유효경쟁 성립요건에 대한 회의적 시각과 경영권 프리미엄 부담 등을 이유로 예비입찰에 불참하면서 결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17일 우리금융 민영화 잠정 중단을 선언했다. 광주은행(행장 송기진)과 경남은행(행장 문동성)에 대한 분리매각 계획도 무위로 돌아갔다.

우리금융 매각 중단 후 독자민영화를 추진했던 우리지주 등 관계기관들은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계속돼야 한다"며 정부가 어떤 후속방안을 낼지 기다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최근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문제 등에 따른 구조조정 이슈에 밀려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이 한동안 지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우리지주 민영화관련 담당자는 "우리금융 민영화는 당연히 추진돼야 하는데 아직 김 위원장의 발언 외에 실무진에서 구체적인 안이 나오지 않은 걸로 안다"며 "정부에서 어떤 결정이 나오든 그에 따라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