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고액수수료 유지 주도' 고객 인내할까?
2011-02-11 임민희 기자
삼성증권 측은 "수수료는 시장에서 결정돼야 한다"는 기존입장을 고수, '차별화된 서비스'로 승부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미래에셋증권에 이어 현대증권까지 기존 3% 안팎의 자문형 랩 수수료를 1%대로 인하하겠다고 나서면서 증권업계는 크게 동요하고 있다.
특히, 박현주 시장이 지난 7일 "3%의 수수료는 증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한 이후 업계 내에서조차 '수수료 적정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면서 일각에서는 자문형 랩을 중심으로 높은 판매실적을 올려왔던 삼성증권 등 상위권 증권사들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수수료를 받아온 게 아니냐'는 부정적 여론마저 일고 있는 상황이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박현주 회장이 공언한대로 오는 14일부터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자문형랩 수수료율을 기존 3%에서 1.90%로 인하하기로 했다. 현대증권도 14일부터 자문형랩 수수료율을 기존 1.5%~3.0%에서 1.0%~1.5%로 내리기로 했다.
자문형 랩 판매에서 저조한 실적을 보였던 두 증권사가 '수수료 인하'를 통해 본격적인 영업경쟁에 나서면서 다른 증권사들 역시 인하 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다.
반면, 최근까지 증권업계에서 랩어카운트로 높은 판매수익을 올려온 삼성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은 차별화된 서비스로 승부하겠다는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다.
앞서 박준현 삼성증권 사장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에서 "수수료 경쟁보다는 고객 가치와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는 뜻을 이미 밝힌 바 있다. 수수료를 굳이 내리지 않더라도 차별화된 서비스로 고객 만족도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출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증권사들이 자문형 랩 판매시 받는 수수료는 평균 2.5%~3%대로 주식형 펀드의 수수료율 1.6%(선취 수수료 제외)보다 높다는 점에서 '수수료로 장사를 한다'는 빈축을 받아왔다.
금융투자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까지 랩어카운트 자산은 35조 6천478억원을 나타냈다. 이는 2009년 12월말 자산 19조 9천703억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최근 코스피지수가 2000을 넘어서는 등 주가호황으로 랩 투자 열풍이 한동안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증권사간 랩 유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증권업계는 '랩 수수료 인하' 바람은 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삼성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이 지금처럼 높은 수수료를 고집할 경우 랩 판매 경쟁력 약화는 물론 국내 최대 그룹 계열의 증권사가 고객들로부터 가장 많은 수수료를 받아낸다는 등의 더 큰 비난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증권 측은 "자문형 랩 수수료는 최저 1.2%에서 최고 3.2%로 고객의 70% 이상이 2% 안팎의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다. 고액의 수수료를 받고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