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대출 오름세 지속…금융 소비자 금리부담 확대
금융권의 가계대출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금융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특히 국내 제도권 금융회사의 가계대출이 지난해 7% 가까이 불어난 가운데 제2금융권에서는 상호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대출자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일반 서민들의 금리부담은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는 것.
13일 코리아크레디트뷰로(KCB)에 따르면 은행, 신용카드, 할부금융, 보험, 신용협동조합, 저축은행 등 전체 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말 722조8천억원으로 2009년말 675조9천억원에 비해 무려 46조9천억원(6.9%)이나 늘어났다.
신용대출이 103조9천억원에서 124조1천억원으로 20조2천억원(19.4%) 늘어났으며, 주택담보대출도 284조6천억원에서 311조5천억원으로 26조9천억원(9.5%)이나 불었다.
신용대출의 경우 저축은행이 52.4%나 급증했으며 이어 카드론 30.4%, 할부금융 30.8%, 보험 24.6% 순으로 신용등급이 낮아 부실위험이 큰 대출의 비중이 이들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많이 늘어났다.
저축은행의 신규취급 대출에서 8∼10등급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2009년말 14%에서 지난해말 22%로 커졌고, 신용대출은 14%에서 17%로 확대됐다.
신협 신용대출은 지난해 10월 8∼10등급 대출 비중이 4%에서 2개월새 6%로 커졌다.
금리가 높은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이용 금액도 2009년말 5조2천억원에서 지난해말 6조원으로 15.4% 늘어난 가운데 8∼10등급 비중은 6%대에서 8%대로 덩달아 커졌다.
KCB의 한 관계자는 "가계신용의 부실화 위험이 높아진 상태로 `가계부실 선행지수'가 지난해 1월 저점을 찍고 오르는 추세여서 잠재적인 부실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늘고 신용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대출금리는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어 부실화 위험을 부채질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앞으로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말 2.80%였던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3.12%까지 오르면서 CD 금리와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및 신용대출의 금리가 뛰고 있다.
CD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하나은행이 14일부터 5.00∼6.50%를 적용, 지난해말 4.68∼6.18%보다 0.32%포인트 올린다. 우리은행은 4.20∼5.52%에서 4.86∼6.16%로 0.31%포인트 인상된다.
한편 정부의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의 장기·고정금리를 우대함과 동시에 연말정산에서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