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값 급등…생산자 소비자 모두 피해
유례없는 사상최악의 구제역 사태와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지난 겨울 이상 한파 및 유가 급등이 한꺼번에 겹치면서 생산비용도 급증,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들인 농어민들의 시름도 깊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돼지고기 공급 부족 여파까지 겹쳐 닭과 배추, 고등어 등 다른 농축수산물의 공급 차질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8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4일 현재 육계(식육용 닭) 산지가격은 ㎏당 2천278원으로 1월 평균 1천564원보다 무려 45.7%(714원)나 급등했다.
달걀 산지가격 역시 10개당 1천372원으로 7.4%(94원) 상승했다. 오리는 ㎏당 2천900원으로 24.3%(567원)나 올랐다.
AI 여파로 닭과 오리 570여만마리가 살처분되면서 수급 차질로 산지가격이 뛰고 있는 것.
경북지역에서는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작년 11월 말 이후 우시장이 폐쇄되면서 소의 산지가격이 형성조차 되지 않고 있다.
대전.충남지역에서는 돼지고기 소매가격이 100g에 2천500원 안팎으로 예년보다 25% 이상 올랐지만, 축산농민들은 도매가격이 이보다 낮은데다 출하 물량 급감과 사육비 등을 고려하면 남는 것이 없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파와 폭설영향이 최근까지도 농어민에 고통을 주고 있다.
강원지역에서는 최근 폭설로 상당수 비닐하우스가 파손됐다. 이에 따라 해당 농가들은 비닐하우스 복구에 힘을 쏟느라 농작물을 출하할 엄두도 못 내고 있으며 폭설 피해를 보지 않았더라도 혹한에 연료비 부담이 20~30% 늘어나 농산품을 출하해도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형편이다.
전국 겨울 배추의 약 70%를 생산하는 전남 해남에서는 배추가 냉해로 밑동이 썩어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배추 포기당 가격이 작년 12월 중순 2천원대에서 지금은 5천원대로 폭등했다.
부산 공동어시장에서는 고등어와 오징어 등의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위판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예년에 7만~8만원에서 거래되던 20㎏짜리 고등어 한 상자가 지금은 20만~30만원으로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