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표시 강화한다더니 공염불? 2년째 감감무소식

2011-03-11     윤주애 기자

대기업이 만드는 햄·소시지 일부 제품에서 유전자재조합(GMO) 성분이 검출돼 파문이 일면서 GMO표시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07년부터 GMO 문제가 끊이지 않으면서 보건당국이 표시제도를 강화하겠다고 공언했지만 2년동안 감감무소식인 상태여서 앞으로도 이로인한 논란과 진통이 계속될 전망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대형마트 등에서 햄.소시지 24개 제품을 수거해 조사한 결과 유전자조작 콩(몬산토 '라운드업 레디')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특이 이번 조사에서는 GMO가 검출된 제품 모두 프리미엄급이 아닌 상대적으로 저렴한 김밥용 햄 등이어서 제조업체들이 저렴한 제품에 GMO를 사용하면서 의도적으로 표시를 하지 않았다는 의혹도 일었다. 


그러나 주무 부서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번 조사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서울환경운동연합이 지적한 회사들은 GMO가 아닌 콩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콩을 선박 등으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비의도적으로 GMO 성분이 혼입돼 마치 GMO콩을 사용한 것으로 결과가 나온 것일 수 있다. 현재 GMO의 비의도적 혼입치 3%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단체가 채택한 정성검사(PCR 검출유무 판별) 방법으로 성분이 검출됐더라도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 업체들도 미국에서 수입한 콩단백을 사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GMO콩이 아닌 것을 식약청에서도 통과할 때 확인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GMO콩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정량분석을 통해 성분이 얼마나 검출됐는지 확인하거나, 제조현장에 GMO콩이 사용된 증거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다.


GMO논란은 이번뿐이 아니다.


식약청은 지난 2009년 2월 동원홈푸드의 '이팜미숫가루'에서 GMO 성분이 검출됐다는 보도를 접하고, 실제 혼입경로를 추적해 덜미를 잡았다. 당시 조사결과 콩 공급업체가 수입 콩(미국산)을 국산으로 둔갑 공급했고 이과정에서 GMO콩이 사용된 것이었다.


앞서 2007년 12월에는 유기농 이유식 일부 제품에서 GMO가 검출돼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식약청은 시판중인 제품 63개 중 일동후디스, 매일유업, 파인트리 비에이치코리아 등 3개사 18개(28.3%) 제품에서 GMO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유기농 분유 등 유기가공식품은 GMO 불검출로 관리되고 있으므로 적발된 업체들은 행정처분을 받았다.


이같은 사회적 물의가 반복되자  식약청은 소비자 알 권리를 위해 GMO 표시제도를 강화하는 법 개정을 추진했다.


GMO원료를 많이 사용한 순서(5위까지)에 상관없고, 식용유 등 최종제품에 GMO의 DNA나 단백질이 검출되지 않아도 GMO원료 사용여부를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손을 봤던 것.


다만 유전자재조합성분 검사법은 친자감식과 같은 검사법으로 검출감도가 매우 높아 약 0.05%만 혼입돼도 검출되는 점을 감안해 표시제도의 적합여부는 구분유통관리증명서의 확인에 의해 최종 판단한다고 못을 박았다.


그러나 2008년 10월 입법예고한 '유전자재조합식품등의 표시기준 개정(안)'은 2년이 넘도록 고시되지 않고 있다.. 당초 빠르면 1개월 안에 총리실  규제개혁심사를 거쳐 2009년 2월에는 고시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업계 반발에 부딪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는 "정부가 유전자조작식품 표시제 개정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사이  제조사는 유전자조작 원료를 아무런 표시 없이 사용하고 있다"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강화하는 법개정을 조속히 추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