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세 회장 맞은 산은, 민영화 탄력받나?
2011-03-11 임민희 기자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석동)는 지난 10일 강 위원장을 산은지주 회장으로 임명 제청했다. 강 내정자는 대통령의 임명을 받으면 산은지주 회장과 산업은행장을 겸하게 된다.
강만수 산은지주회장 겸 산업은행장 내정자(사진-연합뉴스)
금융위는 강 위원장의 국내외 경제 및 금융전반에 걸친 폭넓은 지식과 풍부한 경륜을 내정 이유로 꼽았으나 그간 정체되어 있던 산은지주 민영화 작업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는 해결사로 강위원장만한 인물이 없다는 점에서 이명박 정부의 의중이 상당부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강 내정자는 현 정부의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이자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린 'MB노믹스' 입안자로 이명박 정부의 실세 중의 실세로 꼽힌다.
강 내정자가 산은지주 회장 겸 산업은행장에 오르게 되면 숙원사업인 '민영화 작업' 역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은 민영화 지지부진, 민간 CEO한계 드러내
산은지주의 민영화 작업이 3년째 지지부진한 데는 정부의 비협조와 소극적 의지가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첫 민간 출신 최고경영자(CEO)인 민유성 회장의 리더십의 한계, 산은지주와 한국정책금융공사 분할 등이 주요 문제로 꼽히고 있다.
산업은행은 1954년 기업대출과 정책금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국책은행으로 설립, 운영되다가 2008년 6월부터 민영화 작업에 착수했다. 이후 2009년 산은금융지주와 정책금융공사로 분할됐고, 지주회사인 산은금융그룹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민유성 산은지주 회장 겸 산업은행장은 지난 2008년 6월 이명박 정부 초기 '산업은행 민영화 실현'이라는 특명을 받고 취임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와 우리금융 민영화 등 정부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민 회장은 취임 초기 "2010년 지분 49%를 매각하고 2012년까지 전량매각을 통해 민영화를 완료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으나 세계 금융위기와 우리금융 민영화 선추진 방침 등으로 산업은행의 민영화는 지연됐고, 수신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했던 외환은행 인수도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의 반대로 무산되는 등 민간 CEO의 한계를 드러냈다.
산업은행의 민영화 추진 과정에서 산은지주와 정책금융공사의 역할을 분리시킨 것 역시 실패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당초 산업은행을 민영화해서 그 돈으로 정책금융공사가 중소기업을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으나 실상 민영화가 지연되면서 결국 정책금융공사의 정체성 논란을 가져왔다.
또한 산업은행이 카드사업 진출과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수신기반을 확대하고 조직 인력예산을 자율성으로 책정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줄 것을 정부 측에 요청했으나 번번이 거절, 정부가 오히려 산업은행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도 했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산업은행 보다는 차라리 기업은행(행장 조준희)을 먼저 민영화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강만수, 이명박 정권기간내 산은지주 민영화 성공할까?
금융계는 산업은행 민영화가 계속 지연될 경우 임기 후반기에 접어든 이명박 정부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결사로 강만수씨를 차기 수장으로 낙점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강 내정자는 국세청과 재무부 등 경제부처에서 세제와 금융, 예산 등의 주요 요직을 거친 정통경제 관료출신이다. 또한 초대 기획재정부장관을 지낸 후 현재는 대통령자문 국가 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 경제특별보좌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 권력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강 내정자가 산은지주 수장에 오른 만큼 우리금융 민영화에 밀려 제자리걸음에 그쳤던 민영화 작업 역시 순탄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점 신설 등 영업망 확대를 통해 수신기반을 확보하게 되면 민간은행들과 여·수신 경쟁을 벌일 수 있어 산은지주의 위상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