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우량 사업장 PF 줄이기에 제동

2011-03-13     김문수 기자
금융감독원은 은행들의 일방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감축 추세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는 최근 시중 은행들이 부실 사업장뿐 아니라 우량한 PF 사업장에 대해서도 PF대출을 차단되는 등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거 금융회사들이 부동산 붐에 끌려 사업성이 없는 PF 대출에 나선 후 또다시 분위기에 휩쓸려 사업성이 있는 PF 대출도 하지 않는 것은 건설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최근 은행들이 신규 PF 대출을 극도로 자제하는 것은 물론 기존 대출에 대해서도 정리에 나서면서 실제 은행권의 PF 대출잔액은 지난 2009년 3월 54조9천억원으로 정점에 달한 이후 하락세로 반전해 지난해 12월에는 38억7천억원으로 30%(16조2천억원) 가까이 급감했다.

금감원이 PF 부실채권에 정리 원칙과 별개로 우량 사업장에 대한 PF 대출을 주문함에 따라 은행들도 전략을 수정에 나설 조짐이다.

수익성과 사업성이 있는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시간을 두고 회생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신규 대출도 적극 추진하게 될 전망이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PF 사업장에서 주변 아파트 가격 등의 사업성을 검토해 괜찮은 현장은 자금 지원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추진 중인 업체들이 보유한 사업장들도 자금 지원을 통해 분양하는 방안도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도 PF 대출 관리와 관련해 건별로 검토해 수익성과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한 곳에는 자금을 투입해 정상화시키거나 부동산 경기모멘텀이 바뀌면 지원하는 쪽으로 계획을 세웠다. 아울러 최근 PF대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IB사후관리시스템'을 적용해 사업장별로 인.허가와 분양상황, 차주 및 시공사의 신용도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하나은행도 부실 PF 사업장들 가운데 사업성이 없는 곳은 매각을 추진하되 살아날 가능성이 큰 곳에 대해서는 지원 등을 통해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PF 대출 잔액이 최근 5조8천억원으로 2009년말 대비 6조원 이상 줄어들었다며 신규 대출 등으로 올해는 잔액을 6조원대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한은행도 리스크(위험)가 작으면서 건설사의 보증이 확보된 신규 PF 대출 건을 적극 취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