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피자등 비포장 식품이 알레르기 주범"
햄버거 피자 등 비포장 식품이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대상이 아닌 품목이 알레르기의 7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8일 한국소비자원 발간 '소비자시대' 3월호에 따르면 최근 3년(2008년~2010년 11월)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식품 관련 위해정보 1만3천922건 중 알레르기 관련 사례가 12.5%(1천744건)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식품 알레르기 위해 정보는 병원 응급실을 통해 접수되는데 증세가 미미한 경우 병원에 가지 않을 때가 많아 실제 사례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레르기 유발 식품은 햄버거·피자 등 기타 조리식품이 24.3%(424건)로 가장 많았고 어패류(16.1%), 유제품(11.1%), 빵·과자류(9.7%), 과일·채소류(9.5%), 게·새우·킹크랩 등 갑각류(6.7%), 닭고기(6.1%), 돼지고기(5.3%), 건강기능식품(4.9%), 땅콩(2.6%) 순이었다.
알레르기를 발생시킨다고 표시하는 식품이 아니거나 표시 예외 대상인 비포장 식품 때문에 발생한 위해 사례가 1천237건으로 70.9%인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계란 등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등의 원료를 사용한 제품 정도만 알레르기 유발 표시를 하고 있다.
식품 알레르기 주요 증세는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기도 폐쇄, 천식, 장염, 패혈증 등의 증세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 극소량 섭취만으로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소비자원 측은 "알레르기에 민감한 소비자는 표시 사항을 보고 해당 제품을 피할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면서 "식품을 먹고 두드러기 등 부작용 발생 경험이 있는 자녀는 병원 진료를받아 정확한 원인 식품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