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지구 재정비안' 환호속 조합원 반응 온도차이 왜?

2011-03-25     류세나 기자

"개포주공 1단지를 사놓고 재건축을 기다린 지 벌써 15년이 넘었습니다. 이것저것 따지는 것도 좋지만 이제 공사가 빨리 진행됐으면 좋겠어요."


"재정비안이 통과된 일은 축하할 일이지만 용적률이 당초계획보다 하향조정되고, 소형 임대주택도 대폭 늘어난 부분은 쉽게 납득할 수 없습니다. 재건축이 빨리 진행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초소형임대주택이 들어선다면 '명품' 주거단지로 만들긴 어려워진 것이잖아요."


1년 여간 끌어오던 '개포택지개발지구 재정비안'이 통과되면서 서울 강남지역 재건축 사업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재정비안 통과에 대한 조합원간 반응이 엇갈려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용적률 하향조정·임대주택 증가 논란 '뜨거운 감자'


25일 서울 강남구 개포1단지 조합원 카페 등 개포지구 재건축과 관련된 커뮤니티에는 조합원들간 논쟁이 한창이다.


서울시가 개포택지개발지구 재정비안을 통해 상한용적률 하향 조정과 동시에 소형아파트 세대를 늘리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이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견을 가진 조합원들간의 공방이 펼쳐진 것.


서울시가 확정한 계획안에 따르면, 우선 개포지구 내 가구수는 현재 2만8천704가구에서 4만1천135가구로 늘어나게 된다.


저층아파트인 제2종 일반지구는 최대 230% 이하, 고층아파트인 제3종 일반 주거지역은 최대 250% 이하의 용적률이 확정됐다.


▲서울 강남 개포주공 4단지 전경/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소형주택과 임대주택의 공급량도 늘려 1~2인 가구를 비롯해 영세가구까지 대거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소형주택을 3천805가구에서 4천80가구로 275가구 늘리고, 60㎡ 이하 주택의 전용면적을 40㎡, 59㎡로 낮춰 860가구의 임대주택을 추가로 건설해야 한다. 또 3개 이상의 방을 가진 아파트에 별도의 현관을 설치, 방 하나를 임대할 수 있는 부분민간임대주택 6천857가구도 확보할 예정이다.


조합원들은 이 같은 서울시의 재정비안 세부내용에 대해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조합원 A씨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도로건설과 기부채납 등에 포함되는 땅을 고려하면 실제 용적률은 이보다 낮다"며 "10여 년간 재건축 되는 날만을 기다렸는데 소형주택을 비롯해 임대주택 비율까지 높이면 집값 하락은 불 보듯 뻔한 것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조합원 B씨는 "서울시에서는 '임대, 소형가구수를 늘리면 그 댓가로 용적률을 높여주겠다'고 마치 선심 쓰듯 이야기하고 있다"며 "얼핏 보면 조합원과 영세민들을 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임대가구 수에 따라 재건축 후 아파트 시세 변화도 따른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A,B씨의 입장과 반대의견을 가진 C씨는 "어차피 임대주택 추가부분이 없었다면 이번에도 재정비안이 통과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당초 계획안보다 임대주택이 늘어났다고 해서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D씨 역시 "재건축은 빠르게 진행하되 집은 튼튼하게 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요즘은 작은 평수의 아파트들도 수요가 많아서 그런지 가격이나 주거조건에서 전체단지에 영향을 나쁘게 미치는 것 같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재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문제인 만큼 요구하는 바가 적진 않겠지만 실거주를 목적으로 집을 갖고 있는 입주민들을 생각한다면 재건축은 빨리 이뤄져야한다"며 "신축한지 30년이 된 개포주공의 경우 노후상태가 심각해 안전사고 위험까지 수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재건축 절차 단지별 순차 진행…개포1단지 제일 빠를 듯


한편 개포지구 내 32개 단지는 앞으로 각 단지의 속도에 맞춰 각각 재건축 사업 절차를 밟게 된다. 일반적인 재건축 추진 절차는 ▲정비계획 수립 ▲추진위원회 및 조합 설립인가 ▲건축계획 심의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이주·철거 ▲착공 및 일반분양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중 조합이 설립돼 있는 곳은 현재 개포주공 1단지 뿐이며, 재건축추진위원회가 설립된 단지도 8곳에 불과하다. 개포 주공1단지는 내달 중순께 조합장을 선출한 뒤 강남구청에 건축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마이경제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류세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