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서 방사선 물질 검출 국내 불안 증폭

2011-03-28     윤주애 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양이 갈수록 늘고 확산 범위가 넓어지는 가운데 강원도에서 방사성 물질 제논이 극미량이나마 실제로 검출됨에 따라 국내 불안도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 시점에서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에 들어오느냐, 아니냐'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고, 과연 유입되더라도 실제 우리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의 양인지가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 23일부터 강원도 대기중에서 극미량의 방사성 제논(Xe)이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검출된 방사성 제논의 공기중 최대농도는 0.878Bq(베크렐)/㎥이다. 다행히 이는 방사선량률로 환산할 때 0.00650nSv/h로, 우리나라 자연방사선 준위(평균 150nSv/h)의 약 2만3천분의 1이며 국민 건강과 안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이번에 확인된 방사성 제논(Xe-133)은 방사성 요오드(I-131)와 세슘(Cs-137)과 마찬가지로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의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 중 하나며, 반감기가 5.27일로 짧다. 반감기란 방사성 핵종(核種)의 원자 수가 방사성 붕괴에 따라 원래 수의 반으로 줄어드는 데 필요한 기간을 말한다.

반감기가 짧을수록 방사성을 빨리 잃게되는만큼, 제논이 인체에 위협이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 비활성 기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난 18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관측소에서도 극소량이 발견됐고, 체르노빌 원전 사고 당시에도 유출됐던 물질이다.

2006년 10월에도 한반도 상공에서 방사성 제논이 검출, 북한의 지하 핵실험 증거로 제시되기도 했다. 자연 상태에서는 방사성 제논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만큼, 이 물질이 확인됐다면 핵실험이나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된 것으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KINS는 대기확산 컴퓨터 예측모델을 이용해 방사성 제논의 이동경로를 역추적한 결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극히 일부가 캄차카 반도로 이동한 뒤 북극지방을 돌아 시베리아를 거쳐 남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KINS 관계자는 "편서풍을 따라 동쪽으로 퍼진 방사성 물질이 지구를 한 바퀴 돈 것이거나, 캄차카반도를 타고 시베리아로 들어가는 기류를 타고 들어온 것으로 짐작된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계속 검출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KINS 관계자는 "사고 기간으로 미뤄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계속 발견될 수 있다"며 "그러나 이제 단순히 '방사성 물질이 어디에서 발견되느냐'는 중요하지 않고, 농도와 양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여러 분석 결과대로라면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는 등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여파가 우리나라에까지 미치더라도, 그 정도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거의 위협이 되지 않는 수준으로 예상된다.

KINS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2호기의 노심이 100% 녹고, 격납용기 밖으로 설계누설률(0.5%/일)의 30배가 누출돼도 울릉도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피폭선량(쪼이는 방사선 양)은 0.3 mSv로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인 1 mSv의 30% 수준에 불과하다. 기류는 정확하게 우리나라를 향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설계누설률 '0.5%/일'은 하루에 전체 원자로내 기체의 0.5%가 빠져나오는 상태로, 기체 누출 속도가 이 비율의 30배에 이르는 것은 결국 '격납'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최악의 상황을 말한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은 "방사선 피폭량의 경우 그 값이 아무리 적어도 유아ㆍ임산부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는 만큼, 만약 한반도에서 실제로 일본발 방사성 물질이 확인될 경우 안전성 판단 과정에서 사회적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