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비 주륵주륵 '방사능비 대처법' 이렇게 하면 안심!
지난 6일 오후부터 제주 지역에 비가 내린 가운데 요오드·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평소보다 높게 측정됐다. 그러나 정부는 극미량이 검출됐다며 불필요한 걱정을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지만, 국민들은 현실적인 방사능비 대처법을 요구하고 있다.
7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따르면 제주 방사능 측정소에서 지난 6일 자정부터 7일 오전 3시까지 채취한 빗물을 분석한 결과 요오드(I-131), 세슘-137, 세슘-134가 각각 2.02, 0.538, 0.333㏃/ℓ 농도로 검출됐다.
최고 농도(2.02㏃/ℓ)의 빗물을 하루에 2ℓ씩 1년 동안 마셨더라도 0.0307mSv 정도의 방사선 피폭이 예상될 만큼 적은 양이라고 기술원은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 4일 제주 지역 비의 요오드 농도(0.357㏃ℓ)와 비교하면 6배 이상으로 늘어난 수치라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6일 오후 8시20분부터 오후 9시까지 모은 빗물에서도 1.05~1.86㏃/ℓ 정도의 요오드와 세슘(137, 134)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기술원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부근의 방사성 물질이 남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에 직접 유입될 가능성에 대비, 첫 통과 지역인 제주에 대한 방사능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주기로 진행되던 제주 측정소의 공기 중 방사능 검사 주기를 지난 5일부터 3시간으로 줄였다.
한편 보건당국은 방사능 공포로 빗물조차 우려하는 국민들에게 "비를 굳이 맞을 필요는 없다" "방사성 요오드 등이 빗물에서 검출됐으나 인체에 위해한 수준은 아니다" 등으로 불안감을 잠재우려고 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