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요금제 잔여분, 불우이웃에 기부할 수 없을까?
사용하고 남은 월정액 통화요금을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가장 등 통신요금이 부담스러운 이들과 함께 나누자는 제안이 나와 화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폰 할부보조금을 받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정액요금제를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남는 음성통화량을 이월해주지 않을 거라면 대신 기부라도 하게 해달라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트위터 아이디 'GentileJIN'은 KT 공식트위터에 "KT 들으시오!! 월정액 남은 우리의 통화량 이월 해주지 않아도 좋으니 형편이 어려운 소년 소녀 가장이나 독거노인들의 통화량으로 함께 나누는 건 어떠하오?"라는 멘션을 남겼다. 이 글은 트위터리안들을 통해 급속히 번져나갔고 남는 음성통화량뿐 아니라 문자메시지, 데이터 중에서도 남는 부분을 기부하게 해달라는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얼핏 뜬금없게 들리는 주장이지만 정액요금제의 실체와 이용자들의 속내를 들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현재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45/55요금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음성통화·문자메시지량을 살펴보면 SK텔레콤은 500MB·200분·200건/무제한·300분·200건을 각각 제공하고 있다. KT는 500MB·200분·300건/무제한·300분·300건을, LG유플러스의 경우 1GB·200분·300건/무제한·300분·300건을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이 경쟁사에 비해 45/55요금제 모두에서 제공하는 문자량이 100건 적고, LG유플러스의 45요금제가 1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일괄적으로 정해진 '정액'요금제인 까닭에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데이터·음성통화·문자메시지 중 남거나 모자라는 부분이 반드시 생기게 마련이다.
문제는 제공되는 분량이 모자라 음성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추가로 사용할 경우엔 초과요금을 내야 하는 반면, 남는 것은 그대로 소멸된다는 점이다. '무료'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이미 지불한 정액요금에 포함된 부분이기 때문에 이용자입장에서는 미리 돈을 내고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억울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
2일 방통위의 '통신비 인하안'이 나오며 음성·문자·데이터 사용량을 개개인의 성향에 맞게 짤 수 있는 선택요금제와 정해진 금액 내에서 음성·문자·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조절요금제가 도입됐지만 '정액요금제'보다 오히려 비싼 탓에 실효성이 의심되고 있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시민단체는 진정한 의미의 선택·조절요금제의 신설, 남는 제공량에 대한 이월 등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KT가 데이터 미사용분을 이월해주는 것 이외에 다른 통신사들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정액요금제는 개별요금제에 비교할 때 이미 상당 부분 할인돼서 나온 요금제"라며 "약정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이용한다는 전제하에 단말기 값까지 포함해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결정된 터라 잔여분에 대한 이월, 기부 등은 어렵다"고 해명했다.
한편, 지난 4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이용 요금제에서 가장 개선되길 희망하는 분야가 '스마트폰 전용 요금제의 잔여 서비스 용량 이월'로 전체의 31.4%를 차지했다.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 가격 인하'(31.0%),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의 잔여서비스 용량을 다른 서비스로 전환'(17.4%) 등의 방안이 뒤를 이었다.
[마이경제뉴스팀/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