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TK계 검찰수사로 역풍 맞나?

TK계 김종창, 김장호등 전.현직 인사 줄소환..특정 지역 편중 인사 후휴증

2011-06-08     임민희 기자
저축은행 비리사건으로 TK계(대구-경북 출신)인 금감원 전․현직 고위급 인사가 잇따라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특정지역 출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금융당국의 인사 관행을 쇄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계를 주름잡았던 TK 아성이 역풍을 맞게 될지 주목되고 있다. 또한 자질과 능력에 대한 검증 없이 이들을 기용했던 현정부 인사권자들도 도의적 책임론에 휩싸일 전망이다.

8일 검찰과 금융계에 따르면 현직 임원인 김장호 금감원 부원장보(저축은행 등 중소서민금융담당임원)가 검사무마 대가로 삼화저축은행으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수수 의혹이 불거진데 이어 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도 부산저축은행 구명로비 의혹으로 조만간 검찰에 소환될 예정이다.

검찰은 저축은행과 금감원 전․현직 간부들간의 검은 커넥션이 개인비리를 넘어 정관계까지 깊숙이 개입돼 있는 것으로 보고 금융위원회와 감사원, 청와대 등으로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다.

금융계는 금감원이 '저축은행 비리폭탄'의 근원지가 된 배경에는 능력과 자질보다는 특정지역이나 학맥에 의존하는 인사 관행이 지금의 위기를 자초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금융당국 수장과 주요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상당수가 TK계(대구-경북 출신)이거나 범 영남권 인사로 채워져 있다.

저축은행 비리사건의 주역 취급을 받고 있는 김장호 부원장보와 김종창 전 원장은 전형적인 TK계 인사로 발탁 당시 '자질논란'이 불거졌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의 인사 관행을 시급히 개혁해야 한다고 금융계는 입을 모으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들을 기용했던 현 정부 인사권자 역시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장호 씨의 경우 지난해 금감원 인사 때 전문성 논란에도 불구, 총무국장에서 부원장보로 승진했다. 당시 금감원장이었던 김종창 씨는 김 부원장보를 저축은행을 관장하는 중소서민금융담당 임원으로 발령을 낸 장본인이다.

김종창 씨의 경우 이번 검찰수사에서 드러났듯이 금감원장(2008~2011년)에 취임하기 전부터 부산저축은행과의 유착의혹을 받고 있었다. 김 전 원장은 취임 전에 아시아신탁의 등기이사였고 부인명의로 4만주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6월 말 자금난으로 부산저축은행의 유상증자에 참여, 90억원을 출자했다가 큰 손실을 입은 바 있다.

김 전 원장은 최근 금융수수 혐의로 구속된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을 통해 부산저축은행 검사제제 완화 등의 청탁을 받은 혐의와 함께 아시아 신탁회사주식 명의신탁 의혹을 받고 있다.

그뿐 아니다. 김종창 원장시절 저축은행에 대한 감독 및 구조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저축은행 비리와 부실도 커졌다는 지적이 팽배한 가운데 TK계를 중용했던 현정권 인사권자들도 국민적 지탄을 면치 못하게 됐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