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한우는 사실상 중간 등급에 불과"
현재 눈가리고 아웅식인 한우의 등급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등급으로 알려진 한우가 사실상 중간등급에 불과해 소비자들을 혼란케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관련업계와 축산물품질평가원등 관련기관에 따르면 한우의 육질 등급은 1++, 1+, 1, 2, 3 등 5개 등급으로 나뉘어 일반 소비자가 흔히 최고 등급이라 생각하는 1등급은 실상 세번째에 해당하는 중간 수준 육질이다.
축산당국은 품질개량이 되면서 1++, 1+ 등 더 나은 등급이 생겼을 뿐, 1등급도 이름에 걸맞게 품질이 좋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분포도를 따져보면 축산당국의 주장은 현실과 다소 괴리가 있다.
지난달 한우 등급별 출현율을 보면 1++등급 9.6%, 1+등급 23.3%, 1등급 31.1%, 2등급 25.1%, 3등급 10.3%로, 1등급은 가장 흔한 육질로 중간등급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를 더 명확하게 하려고 식육판매 표지판을 개선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1등급 한우일 경우 기존에는 등급란에 '1'이라고만 쓰면 됐지만 다음 달 1일부터는 '1++, 1+, 1, 2, 3, 등외'라고 전체 등급을 먼저 열거하고 해당 등급(1)에 동그라미 표시를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개선된 제도도 식육판매점에만 적용될 뿐 식당에는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손님들은 여전히 '1등급 한우'에 현혹될 가능성에 노출됐다.
일각에선 고급이 아닌 '보통 한우'를 1등급으로 불러 대다수 소비자가 오인하는 일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축산업자도 배려해야 하지만 소비자도 분명히 보호대상인 만큼 최고 5등급에서 1등급까지 분류하는 일본처럼 1~5등급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소비자들의 혼동을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