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 여름철 음료값이 비싼 이유는?
각 커피전문점들이 여름철 새음료를 앞다퉈 내놓으면서 가격을 대폭 올려받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이들 음료의 천연재료 원가와 양을 감안하더라도 커피류에 비해 60% 이상 비싸다는 지적이다.
커피의 경우 100원만 가격을 올려도 시선을 의식할수 밖에 없지만 계절상품은 1년에 한 번 신상품으로 포장돼 나오는 탓에 소비자가 가격 상승에 둔감하다는 점을 노려 값을 높인다는 것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카페베네가 이번 여름신상품으로 내놓은 '수박 그라나따'와 민트와 라임으로 맛을 낸 모히토의 가격은 모두 6천300원(레귤러 크기)이며 역시 여름철 인기 제품인 딸기 요거트 스무디는 5천500원(레귤러)에 가격이 매겨졌다.
연중 잘 팔리는 '스테디 셀러'인 같은 크기의 아메리카노보다 각각 2천500원(65.8%), 1천700원(44.7%)이나 비싼 가격이다.
수박과 얼음이 주재료인 수박 그라나따의 가격은 진짜 수박의 ⅓통과 가격이 맞먹을 정도다.
카페베네 측은 "수박 그라나따는 천연재료인 수박의 신선도를 유지하기위해 물류비용이 많이 들어 가격이 높아졌고 모히토는 민트와 라임이 원래 비싼 재료다"고 해명했다.
엔젤리너스 역시 여름 음료인 골드키위스무디, 멜론스무디가 5천800원(레귤러), 쿠키앤크림 프라페(레귤러)가 6천300원으로 아메리카노보다 각각 2천원(52.6%), 2천500원(65.8%) 비싸다.
스타벅스도 여름을 맞아 카라멜프라푸치노, 두유 딸기 크림 프라푸치노를 5천300원(톨)에 출시했으며, 블랙 세서미 그린티 프라푸치노는 5천800원(톨)에 판다.
연중 판매되는 아메리카노가 3천100원(톨사이즈)임을 감안하면 각각 71.0%, 87.1%나 비싸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얼음을 갈아서 넣어야 하는 여름 음료의 특성상 제조 시간이 많이 들고 단순한 커피보다 재료도 다양해 더 비싸질 수밖에 없다"며 "원가 계산을 꼼꼼히 해 책정한 가격이어서 현재 가격은 합리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