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 위해 29일까지 시행령 개정안 추진
2011-06-26 임민희 기자
반대의견을 가진 국회의원을 설득해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되, 설득에 실패하면 시행령 개정을 폐기하고 매각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26일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은 우리금융 입찰의향서(LOI) 접수가 마감되는 29일까지 추진한다"며 "가급적 그때까지 정치권의 동의를 얻어 개정안을 입법 예고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일부 의원들은 금융지주사끼리 합치는 '메가뱅크'(초대형은행)에 대해 부정적 반응이 여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금융위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지주사를 다른 금융지주사가 인수할 때 최소 확보 지분을 5년간 95%에서 50%로 낮추는 시행령 개정 초안을 들고 여야 의원을 개별 접촉해 설득 중이다.
금융위는 LOI 마감일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정치권의 동의를 얻는다면 먼저 입법 예고하고 금융위원들에게 사후 보고하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지만 무리하게 강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금융 매각을 집행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시행령이 개정돼 금융지주사가 참여한 유효경쟁이 이뤄지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개정이 안 되더라도 매각을 중단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일각에선 시행령 개정에 실패하면 매각 중단을 선언하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나오는데, 공자위 내부에서 아직 그런 방안은 거론조차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금융지주사의 인수 참여가 어렵더라도 사모펀드(PEF), 컨소시엄, 해외 금융자본이 인수에 나서거나 국내 금융지주사가 인수가 아닌 합병 방식을 선택하면 예정대로 매각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공자위는 인수·합병 외에 우리금융 지분을 분할매각하거나 자회사를 분리매각하는 등의 방식은 배제하고 있다.
공자위 관계자는 다만 "만약 LOI를 제출하는 곳이 없거나 한 곳에 불과하면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그래서 다시 유찰되면 현재 분위기상 매각 재추진 여부가 매우 불투명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