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발효…유럽 명품들 가격내릴까

2011-06-29     박신정 기자

다음달 1일부터 한-EU FTA(자유무역협정)가 공식 발효되면 유럽 명품에 부과되던 관세가 10% 안팎 철폐되게돼 이들 명품의 가격도 이에 맞춰 가격이 내릴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해 이후 원달러 환율도 많이 떨어졌기 때문에 인하 요인은 더욱 커진 상태다.


이같은 인하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내리지 않을 경우 결국 한국 소비자는 봉이라는 인식을 확실하게 심어줄 것으로 보여 지금까지와는 달리 한국 소비자들의 조직적인 저항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루이뷔통, 샤넬, 구찌, 에르메스 등 유럽 명품 브랜드들은 지금까지 FTA에 대해선 이렇다할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달 1일 FTA발효 이후 유럽산 의류(13%)와 구두(13%), 가죽가방(8%) 등에 부과되던 관세가 즉시 철폐되면 이들 제품의 국내 판매가격도 해당 비율만큼 내려가야 하지만 업체 자체적으로 관세 인하 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않을 경우 이를 제재할 방법은 없는 게 현실이다.


문제는 이들 업체는 환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력 제품의 가격을 잇따라 인상하면서 한-EU FTA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는듯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샤넬이 지난 4월 상당수 제품가격을 무려 평균 25%나 인상한 데 이어 루이뷔통도 지난 24일 한국 내 제품 판매가격을 평균 4~5% 정도 올렸다.


루이뷔통은 대표적 가방인 '스피디30'의 경우 지난 2월 92만원에서 96만5천원으로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 다시 101만5천원으로 올려 넉달새 10% 가까이 인상했으며 역시 가방제품인 '네버풀MM'의 경우 지난 2월 97만원에서 102만5천원으로 인상한 데 이어 이번에 다시 107만5천원으로 올렸다.

  
루이뷔통의 잇단 가격 인상과 샤넬의 25%에 달하는 가격 인상을 놓고 일각에선 "한국 소비자는 비쌀수록 좋아하는 봉중의 봉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확실한 증거"라는 주장마저 내놓고 있다.

  
또 한국 사치품 시장의 속성상 '비쌀수록 잘 팔리는' 구조에서 지금도 없어서 못팔 정도로 잘 팔리고 있는데 업체들이 굳이 가격을 내릴 이유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백화점의 한 관계자는 "유럽 명품업체들이 7월1일 FTA발효 이후에도 제품가격을 내리지 않을 경우 관세 철폐에 따른 차익금은 온전히 업체의 호주머니로 들어가게 된다"며 "우리 정부는 FTA가 체결되면 국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홍보했으나 관세 철폐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정작 소비자들에게 돌아가야 할 이익이 업체 호주머니로 들어가는 셈"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