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약가 인하 방안 들춰본 제약업계 '악~'
그동안 업계를 바짝 긴장시켰던 당국의 대폭적인 약가 인하 방안이 결국 사실로 드러나면서 제약업계가 패닉에 빠졌다.
상반기 주요 제약사들의 실적이 수렁에 빠진 상황에서 하반기 상황은 엎친데 덮친격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약사들은 이같은 정책이 국내 제약산업의 ‘숨통’을 끊어 놓을 것이라며 크게 비관하고 있다.
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최근 그동안 일부 관계자들을 통해 흘러나오던 대폭적인 약가인하 방침을 내부 기구를 통해 공식화했다.
복지부 보건의료미래위원회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당국은 향후 건보 재정에서의 약품비 지출을 줄이기 위해 특허만료 오리지널 및 최초 제네릭 약가 인하폭을 확대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인하폭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업계는 특허 만료 오리지널의 경우 현행 80%에서 70%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또, 퍼스트제네릭의 경우 68%를 인정하던 현재의 기준에서 추가적인 인하가 추진됨에 따라 40%대까지 내려가리라는 것이 업계의 예상이다.
이와 함께 등재 순서를 기준으로 약가를 인하하는 계단식 산정 방식을 폐지되고 ‘동일성분 동일함량 동일가격제’를 기틀로 한 새로운 약가 제도가 추진된다.
이는 특허만료 후 일정 개수 이상의 카피약이 출시되면 오리저널과 제네릭에 관계없이 가격을 동일하게 책정하겠다는 것으로 한때 제약업계에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던 ‘참조가격제’와 유사한 형태다.
그동안 소문만 무성하던 약가인하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당초의 예상보다 어둡게 그려지자 제약업계는 그야말로 초상집이다.
제네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제약업계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 전체적인 산업의 기틀이 흔들릴 수도 있는 제도라는 것.
D제약사 관계자는 “오리지널과 제네릭 가격이 50% 수준으로 동일하게 책정된다면 제네릭사로써는 거의 원가 수준으로 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다”며 “일반약이나 품목이 다양한 상위 제약사야 연명할 수 있겠지만 중하위권 업체들은 시장에서 살아 남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J제약사 관계자는 “정부가 신약개발이나 R&D 투자를 강조하면서 이러한 약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국내 제약 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며 “대다수의 제약사가 차별화된 제네릭으로 수익을 올리고 이를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K제약 관계자는 “시장형 실거래가제, 리베이트 연동 약가인하제 등의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메가톤 급’ 약가인하책이 추가되는 것은 제약산업의 ‘숨통’을 죄는 것”이라고 흥분했다.
실제 대다수의 제약사들은 지난해부터 극심한 매출 정체 및 이익 감소를 겪고 있다. 증권가에선 올해 상반기 주요 제약사들의 영업이익 감소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복지부가 밝힌 추진안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국내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상하기가 어려울 정도”라며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산업이 위축되면 국가적인 피해가 생긴다는 점을 고려해 당국이 이번 제도의 시행에 앞서 업계의 의견에도 충분히 귀를 열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양우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