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한돈 실거래가 25만원…사상 최고치 기록
유럽발 글로벌 경제 불안으로 국제 금값이 치솟음에 따라 국내 금가격이 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한국금거래소(Korea Gold Exchange)에 따르면 전날 금 소매가는 매입 기준 3.75g(1돈)에 21만7천200원을 기록,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는 부가가치세(10%)를 제외한 가격인데다 통상 금으로 만든 반지나 팔찌 등에는 1만원 이상의 세공비가 추가된다.
따라서 탈세가 없는 거래라면 소비자가 1돈짜리 금 세공품을 구매할 때 체감하는 가격은 25만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금값은 앞서 2일 20만9천원까지 떨어졌으나 5일부터 꾸준히 오르기 시작했고 14일에는 지난달 18일 세운 기록인 21만6천700원을 넘었다.
금 소매가는 2008년 8월16일에 매입 기준 3.75g당 10만9천670원까지 폭락했지만 이후 전반적인 상승 곡선을 그리며 작년 6월9일에 20만원을 돌파했다.
최근 환율 하락에도 국내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것은 국제 금값 상승세가 거센 탓이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8월물 금 선물 가격은 13일 오후 3시30분에 전날보다 온스당 4.50 달러가 오른 1천566.80달러였고 14일 같은 시각에는 1천586.30달러를 나타내는 등 고공행진을 했다.
국제적으로 금 가격이 오른 것은 다른 자산에 비해 고수익을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무엇보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3일(현지시간) 양적 완화 조치를 추가로 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함에 따라 달러화 가치 하락을 우려한 투자자가 금 투자로 선회한 것이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
한국금거래소 고위 관계자는 "버냉키 의장의 발언이 금값 인상의 가장 큰 원인이고 아일랜드의 국가 신인도가 떨어지고 그리스 및 이탈리아의 디폴트 가능성이 커지는 등 유럽발 경제난으로 인플레이션이 촉진돼 장기 투자자들이 금으로 돌아선 것도 가격 상승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