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 M&A로 몸집 불려야 산다
제약산업 경쟁력 하락의 주요인인 높은 매출원가를 줄이기 위해선 난립하는 중소형 제약사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 져야만 거대 외자사 수준으로 원가 비중이 낮아지고 이를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 판매 관리의 효율화 등으로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제약협회는 지난 20일 ‘경영지표로 본 제약산업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내 제약산업의 현황과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
이날 제약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제약사들 전체가 올린 매출은 14조354억원으로 이중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금액은 7조769억원. 전체 매출의 54.1%를 차지했다.
이는 GSK, 노바티스, 화이자, 사노피 아벤티스, 머크 등 주요 다국적 제약사들의 매출원가비율 28.7%의 2배에 달하는 수치.
권경배 공인회계사는 “매출액 자체가 작으면 매출원가율이 높게 나올 수 밖에 없다. 국내 제약사는 막대한 원가비율을 커버할 만큼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 물질 발굴에 성공했지만 추가적인 투자가 불가능해 개발을 포기하는 제약사들도 있다”며 “상위 제약사들이 시설을 새로 짓는 것보다는 메가컴퍼니를 만들어 규모의 경제를 이루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이미 ‘규모의 효과’를 누리고 있는 노바티스, 사노피, 애보트 등 글로벌 제약사들도 M&A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제약사들은 더욱 절실한 필요성에도 이러한 움직임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국내에는 300개 이상의 제약사들이 난립해 R&D 투자 여력이 없다는 것.
대다수의 업체들이 제네릭으로 연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위 제약사를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이 이루어져야 전체적인 산업 자체의 경쟁력이 키워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약산업의 판관비가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이유가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이는 최근 리베이트가 사회적인 이슈가 된 것과 관련해 제약사들의 높은 판관비에 시선이 쏠리고 있는 데에 따른 것이다.
권 회계사는 “제약사 판관비 대부분은 유통망을 구축, 유지하는 활동과 관계가 있다”며 “일반 제조업과 다른 높은 기준의 생산 시설 관리비와 전문인력 등의 인건비도 판관비가 높이 책정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2010년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제약업종의 평균 판관비는 전체 매출의 35.6%로 화장품, 음료, 의복 제조업 등 유통 기능이 혼합된 업종의 평균인 35.5%와 동일한 수준이다.
권 회계사는 M&A 등으로 산업 지형의 재편이 이루어질 경우 정부 역시 신약 우대 정책 등 강력한 지원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사는 신약 개발을 위해 사활을 걸고 투자하지만 실제 경제적인 효과를 거두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 이를 보완해 주는 장치가 있어야만 규모의 경제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권 회계사는 “그동안 국내 제약사가 신약 개발을 통해 얻은 성과는 한심한 수준이다. 매출액 대비 두자릿수 비율을 투자하는 회사가 거의 없고 가장 연구원이 많다는 동아제약이 200명 가량”이라며 “정부가 R&D 투자 유인을 위해 사회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약가정책 등으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양우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