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신저시장, 음성통화 도입 2라운드 경쟁
모바일 메신저시장에서 국내시장 점유율 1위인 '카카오톡'이 음성통화 기능 개발에 나선 것으로 보이는 정확이 포착되면서 업체 간 경쟁이 음성통화 서비스로 옮겨가고 있는 양상이다.
그러나 모바일 메신저 음성통화 품질이 기존 휴대전화에 비해 떨어져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최근 인터넷 전화(VoIP) 서버 개발과 관련된 5∼10년차 경력직 사원을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VoIP는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음성통화를 할 때 사용되는 핵심 기술이다.
이에따라 경쟁사들은 카카오톡이 "음성통화 서비스 계획이 없다"는 입장 발표에도 불구하고 이른 시일내에 음성통화 서비스 경쟁에 가세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카카오톡은 1천9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여전히 압도적인 1위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포털업체인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모바일 메신저인 '마이피플'도 1천100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하며 카카오톡을 맹추격 중이다.
특히 마이피플은 올 2월 음성통화 기능을 추가한 뒤로 신규 이용자가 매달 평균 200만명씩 증가할 정도로 음성통화 서비스가 시장 점유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
여기에다 SK컴즈가 최근 출시한 '네이트온톡'도 음성통화 기능이 포함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시장이 음성통화를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SK컴즈의 경우 막대한 자금력을 가진 SK텔레콤의 계열사라는 점에 그동안 PC 메신저 시장에서 사용자 기준 1위라는 위상까지 더해지면, 다음커뮤니케이션처럼 SK컴즈도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급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 메신저에서 사용하는 음성통화 기능이 현재까지는 기존 휴대전화 통화 등에 비해 품질이 떨어져 음성 통화가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큰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또 이용자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모바일 메신저의 특성상 선두 업체가 후발 업체에 비해 매우 유리한 구조라는 점도 모바일 메신저 시장의 변동 가능성을 낮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카카오톡의 관계자는 "VoIP 경력직 공채는 시장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대비하는 차원"이라면서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음성 통화는 이동 중에 전화가 끊기는 등 문제가 많아 아직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잘라말했다.
다음의 한 관계자는 "음성 통화가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자를 끌어들이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다"면서 "음성통화는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강력한 기능"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