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승화 부회장, 영업익 추락 위기 UHP로 돌파한다
한국타이어 서승화 부회장의 심기가 어지럽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판매 실적은 우수하다. 2분기 매출액 1조5천억원을 돌파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 3조400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21%, 전분기 대비 8.2% 증가한 수치이다.
전년동기에 비해 중국 21% 성장, 헝가리 115% 성장 등 글로벌 시장 공략도 성공적이다.
지금 인도네시아와 중국에 건설 중인 생산 공장이 풀가동되는 2014년 즈음에는 타이어업계 글로벌 탑 5로 올라서리라 기대하고 있다.
매사 잘 풀려가는 듯 한데도 서승화 부회장이 어깨를 활짝 펴지 못하는 것은 영업익 이익의 급감 때문이다.
한국타이어의 2분기 영업이익은 1천10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3.6%, 전분기 대비 37% 감소했다. 법인세 차감 전 당기순이익(1천118억원)은 1분기(1천959억원)보다 42.9%나 줄어들었다.
매출액은 늘어나는데, 이익은 거꾸로 크게 감소했으니 두통거리가 될 만하다. 1분기 12%에 달하던 영업이익률도 7%로 급전직하했다.
고유가 등 원자재가의 상승 탓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런 현상이 당분간 지속되리란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2009년 톤당 1천500달러 하던 천연고무 가격이 지금은 5천~6천달러로 4배 가까이 올랐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수출 비중이 70%에 달하는 한국타이어로서는 점점 안정화되는 환율도 별로 반갑지 않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환율이 1천500원을 넘어가면 회사의 매출과 수익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고질적인 원자재가 상승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서 부회장이 내던진 승부수는 초고성능(UHP) 타이어다.
서 부회장이 고품질․고부가가치 UHP로 새로운 돌파구를 이뤄낼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안재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