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사장낙마-직원비리 겹쳐 청렴도·주가 '폭삭'
국내 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가 거듭된 악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장 선임이 미뤄져 경영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직원 비리마저 불거져 그간 청렴도 1위 공기업으로 꼽혀왔던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입게 됐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선 기관장평가, 고객만족도 등에서 연임 조건을 충분히 갖췄던 김쌍수 전 사장이 LG서브원과의 소모성자재(MRO) 밀어주기 사건으로 낙마했다.
사실상 단독후보 체제였던 김중겸 전 현대건설 사장의 한전 사장 선임에도 제동이 걸렸다.
한전은 당초 지난달 21일 이사회를 열고 이달 24일에는 사장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를 열기로 했었으나 돌연 일정을 연기했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후보자 인사검증 작업이 지연되면서 일정이 늦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측은 새 주총일정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후보자가 결정되는 대로 세부내역과 일시를 재공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자칫 김쌍수 현 사장이 8월26일 임기만료 이후에도 근무하는 해프닝이 벌어질 수도 있다.
앞서 지난 10일에는 한전 직원 90여명이 원·하청업체들로부터 10억원대의 뇌물과 향응을 제공받았다가 경찰에 무더기로 적발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한전 직원들은 지난 2006년부터 최근까지 한전 현장 감독관으로 일하며 업체들로부터 각종 리베이트, 수수료 등으로 7천500만원에서 2억2천500만원까지 총 5억1천여만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임기 말 공정사회 기조에 따라 한전 사장에 대해 보다 강도 높은 윤리의식과 청렴도 등을 우선시 해 사장선임이 연기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직원 비리가 불거진 것도 모자라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제2 원전수주, 자원개발 등의 핵심현안이 산재하고 있는 한전의 기관장 인선작업이 미뤄지면서 주가도 폭락하고 있다.
올 초 3만원에서 시작한 주가는 5월 한때 3만500원으로 고점을 찍은 이후 현재 30% 이상이 급락한 2만원 초반 대에 머물고 있다. 최근 일주일 새만 5천원이 하락했다. 이는 2008년 말 서브프라임 사태로 하락했던 당시와 맞먹는 수준이다.
증권가에는 새 사장이 기한 내에 선임되더라도 한전의 주가는 여전히 바닥을 면치 못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4만5천원이던 목표주가를 2만9천원으로 반 토막 내다시피 했다. 전기요금 인상율이 영업적자와 순손실의 늪에서 벗어나기에 미흡하다는 게 이유다.
증권가 관계자는 "공공재 성격을 지닌 전기요금의 인상이 수익성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해 주가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한전은 지난 1분기 5천6억원의 영업적자와 5천438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오는 16일 2분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