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기초의원, 일본 자민당 의원 일행에 규탄 편지 전해
광주광역시 북구의회 문혜옥 의원이 이번 독도와 관련한 일본 자민당 신도의원 일행의 울릉도 방문을 규탄하며 깊은 유감을 표현하는 편지를 11일 발송해 눈길을 끌고 있다.
문 의원은 "이번 독도와 관련한 의원님의 울릉도 방문 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하고자 편지를 띄우게 됐다"며 "두 나라는 가까운 거리만큼, 더 깊은 우호와 선린, 상호 발전의 긍정적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문 의원은 "일본이 20세기 초반 36년 동안 침략과 식민지 지배로 대한민국 국민의 가슴에 쉽게 아물지 않는 아픔과 슬픔을 남겨줬다. 해방이 되고 양국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지난 3월의 일본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민국 국민은 자원봉사단을 모집하고 모금운동을 전개하며 이웃나라의 어려움을 함께하려 했던 것이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한일 양국의 관계는 마음속 깊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그 근본적 원인이 일본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하고 "용서는 진정한 사과와 반성이 전제돼야 하는데 가해자는 아무런 사과와 반성도 없는데, 피해자에게만 용서를 강요할 수는 없는 법“이라고 일침했다.
이어 "제2차 세계대전 일본과 같은 전범국이었던 독일의 사례와는 너무나 다르다.독일의 반성은 진정성이 있었다"고 꼬집었다.
문 의원은 "독일은 전쟁이 끝난 후 나치 관련자들을 엄한 법률로 처벌했다"면서 "전후(戰後)배상은 성격에 따라 국내 보상입법에 의한 보상, 조약을 통한 대외보상, 기업에 의한 보상으로 나누어 국적에 상관하지 않고 나치즘에 피해를 입은 사람은 모두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해 놓고 국가와 개인에게 보상을 했다"고 덧붙였다.
또 "연금보상법에서 연금수령자 83%가 독일 외 사람으로 지급되고, 또한 1970년 12월 7일 폴란드를 찾은 빌리브란트 독일총리는 바르샤바 게토 희생자 추모비 앞에 무릎을 꿇고 40만명의 나치에 희생된 유대인들의 영령을 추모하며 독일이 저지른 범죄행위에 대해 반성했다"고 독일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예로 들었다.
"하지만 일본은 정신대 등 위안부피해자들에게 '매춘부'라든지, '돈을 벌기 위해 자원한 여자들', '아시아 태평양전쟁이 침략전쟁이 아니라 해방전쟁'이라는 등의 망언이 정치가들 및 사회지도층에서 계속 나오고 있다"며 개탄했다.
문 의원은 "일본은 위안부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는 귀를 막고 독도가 한국의 영토가 분명한데 일본의 영토라 주장하는 일본정부 때문에 저를 비롯한 대한민국 국민은 일본정부가 과거의 제국주의에 대한 반성이나 책임의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영원히 가까워지기 힘들 것이며 독도 문제 또한 일본의 제국주의 반성과 결부돼 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일관계가 희망찬 미래를 걸을 수 있도록 대한민국에 대한 도발 행위를 즉시 중단하기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글을 맺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노광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