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군, 세계적 해양 테크로폴리스 ‘발돋움’
해삼·전복양식산업 메카인 진도군(군수 이동진)이 해양 강국의 전진기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국토의 최서남단에 위치해 동북아와 연근해 어업 근거지에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진도군은 해양 생물, 해양 관광, 해양 에너지, 해양 물류가 어우러진 해양 테크노폴리스의 중심지가 되기 위해 발돋움하고 있다.
진도군의 이같은 전략은 맑고 깨끗한 바다와 연평균 13도의 따뜻한 기온, 중국·동북아를 연결하는 지정학적 위치, 다양한 해양 생물자원 보유 등 진도군이 가진 장점을 이용하면 세계적 해양산업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
유인도 45개, 무인도 185개 등 모두 230개의 섬으로 이뤄진 진도군은 해안선이 583.1㎞로 전남지역의 9%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그 잠재력을 활용, 바다와 관련된 여러 산업을 펼쳐 동북아 물류·관광지로서 발전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타 지역 항만은 WTO와 FTA 영향으로 원양어업과 근해어업을 하고 있는 선단들의 유류비 절감, 조업기간 연장 등 경영개선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먼 바다에서 육지와 연결되는 가장 가까운 진도군 임회면에 위치한 팽목항 항만시설 이용을 원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파악, 진도항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중에 있으며, 현재 연안항 개발사업을 진행 중인 팽목항을 중심으로 서망항과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현재 국토해양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최근 약 10년전 부터 국가어항인 서망항은 이용어선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0년부터 국비 120억원을 투입 재정비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5천억원 규모의 진도항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국내 최대 항만으로 발돋음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세계 최대 규모의 조류발전단지가 진도군 해안가 일대에 들어설 전망이다. 국립해양조사원 등의 각종 연구와 실측 조사에서 울돌목, 장죽수도, 맹골군도 등 진도 해안가 일대가 조류 발전의 최적지로 꼽히면서 세계적 기업들이 실증단지를 잇따라 설치, 운영하는 등 발전단지 건설에 발 벗고 나섰기 때문이다.
진도군은 서·남해안의 교차지점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천혜의 양식조건을 가진 보배로운 섬으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많은 바다를 보유하고 있다.
김·전복 종묘는 우리나라 최대 생산지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전복과 해삼양식을 집중 육성하여 수산물 1조원 생산을 목표로 세부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양수산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용역을 진행중에 있다.
4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친환경 해역의 전복 종묘 및 전복 양식의 최고의 적지로 전국 전복종묘생산량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품질 전복은 대도시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로 생산량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진도군 조도면 해역의 서남해 저층냉수대를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중국 대련장자도어업집단주식회사 한국지사와 지난 2010년 10월 29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일본의 원전사고 등으로 잠시 지연됐으나 최근 8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군은 조도면, 진도읍 해역 일원에 2억불(2,600억) 규모의 중국 자본을 유치할 계획으로 지난 9월 2일(금) 중국 대련장자도어업집단주식회사 한국지사를 개소하는 등 본격적인 투자가 진행될 '해삼·전복양식산업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진도군의 고품질 청정 농수 특산품이 세계로 진출하게 되면 전남 서남부권 지역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국가 경쟁력이 크게 향상시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해양 경영시대를 맞아 진도군이 가지고 있는 해양자원의 개발 잠재력을 극대화한 진도 해양산업 발전전략을 수립,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키워 나간다는 방침이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오승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