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관리협회 "명절 스트레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언제 부터인가 우리네 주부들은 ‘명절 증후군’이라는 한국형 스트레스 질병을 앓고 있다.
명절 직전이나 직후 삼삼오오 찜질방에 모여 시어머니며 시누이, 남편 등을 성토하는 모습을 쉽사리 볼 수 있다.
이런 명절 증후군은 비단 여자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에게까지 전이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광주전남지부 윤정웅 원장은 명절 건강관리에 대해 “한국형 스트레스 1위는 명절 증후군으로 많은 주부들이 명절 이전이나 이후, 병원을 종종 찾는데 심할 경우 고열이나 가슴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까지 발병되는 것이 특징이다"고 말했다.
또한 “명절증후군 스트레스는 더 큰 병을 불러오기 때문에 개인이 스스로 풀지 못하면 정신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혼내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고, 일에 치여 바쁜 와중에 도와주기는커녕 수수방관하는 남편이 더 얄밉다. 대놓고 말하자니 일 년에 한번 뿐인 추석 분위기를 망치는 것 같고 가만히 놓고 보자니 울화가 치밀고 피할 수 없다면 당당하게 즐길 것을 권하고 있다.
미움의 감정은 몸과 마음을 병들게 한다. 사람을 미워하는 것만큼 스스로에게 독이 되는 것도 없다. 주부들에게 명절은 아마 이런 의미일 것이다. 피하고 싶은 명절은 해마다 반갑지 않은 손님이 되어 나타나니 만성 스트레스가 될 법도 하다.
급성 스트레스와 달리 만성 스트레스는 앞으로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보게 하는 나쁜 습성이 있다.
사서 고생이라는 말처럼 하지 않아도 될 걱정으로 조바심 내 하는 것도 만성 스트레스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만성 스트레스가 심할 경우 신체적, 육체적으로 무기력함을 느끼게 될 수도 있으며 결국에는 일상의 고통이 더 가중될 수밖에 없다. 추석이 다가오면서 차례 준비에, 손님 수발에, 이래저래 노심초사 걱정하는 마음도 이런 견지에 해당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광주전남지부 윤정웅 원장은 “어차피 명절은 해 마다 돌아온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그리고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기는 명절로 만드는 지혜를 발휘야 한다”고 말했다.
최선의 방법은 무조건적인 회피보다는 즐거운 도전에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광주전남지부는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체험을 갖도록 할 것, 명절을 위한 사전계획을 모든 가족이 함께 세울 것, 알뜰하고 실속 있는 명절을 위해 무리한 지출은 삼갈 것, 남녀가 함께 일하고, 함께 즐기고, 함께 쉬도록 할 것, 차례를 지낸 뒤 산책, 윷놀이, 영화관람 등 가족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이벤트를 마련할 것, 바쁜 일상 속에 미처 나누지 못했던 마음의 대화를 확인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것, 무엇보다 해마다 찾아오는 명절을 피할 수 없으니 적극적으로 즐길 것을 제안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노광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