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고병원성 AI 선제적 방역종합대책 마련

2011-09-07     정덕기 기자

전라남도가 고병원성 AI의 재발방지를 위해 농가별 등급별 관리 강화를 통한 농장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국내 유입가능한 모든 경로에 대한 사전검사를 강화하는 등「고병원성 AI 선제적 방역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발생한 고병원성 AI는 최초 국내 유입은 철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나 이후 영암과 나주 지역에서 집중 발생한 것은 농가 사육환경 열악에 따른 자연 면역력 저하로 전염병에 쉽게 감염될 수 있었으며 농장 차단방역 소홀로 오염된 농장을 출입한 차량, 사람 등에 의해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가축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농가 교육홍보를 통한 현장 방역의식을 강화하는 등의 선제적 재발방지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도의 AI 선제적 방역대책은 농장 등급별 관리강화를 통한 사육환경 개선, 농가 차단방역 강화 및 이행실태 집중 점검, 교육홍보를 강화 현장 방역능력 향상, 발생가능한 모든 위험요소에 대한 상시검사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집중 추진될 예정이며 9월부터 도, 시군, 방역관련 단체, 계열업체 등 전문가로 AI 방역 추진실태 점검반을 운영하여 사전 차단 방역활동을 적극 전개할 계획이다.


전남도 임영주 농림식품국장은 "고병원성 AI가 지난 5월 16일 경기도 연천을 마지막으로 3개월 이상 추가 발생이 없어 지난 4일 AI 청정국 지위 회복을 선언했지만 인접국가인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들 국가를 경유하는 철새 등에 의해 우리나라에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축 자연면역력 향상을 위해 적정 사육밀도를 준수하고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농장 소독 등 차단방역을 강화하는 등  고병원성 AI의 유입방지를 위한 선제적 방역대책에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선제적 방역대책의 세부내용 -
◎ 지난 ‘11.7.27~8.31까지 도내 닭, 오리농가 1,001농가에 대한 사육환경을 조사 우수, 보완, 사육제한, 이전대상 등 4단계로 구분 등급별 관리를 강화하여 가축 사육환경을 개선
  - 보완 및 사육제한 대상농가는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우선 지원 시설 개선
  - 마을, 도로, 강, 호수에 위치한 이전대상 농가는 녹색축산기금, 농어촌진흥기금 등 정책자금 우선 지원 다른 지역으로 이전 권고
  - 자연 면역력 획득을 위한 운동장 확보 등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 지도
  - 적정 사육밀도 준수 및 농장 일시입식 일시출하 적용 철저
   ※ 시설 개선 및 이전 권고 불이행 시 모든 정책자금 지원 중단


◎ 농장 소독 등 차단방역 이행실태에 대한 집중 지도 점검으로 방역의식을 고취
  - 농장 출입구에 “출입금지 안내판” 및 “출입통제 표시띠” 설치
  - 사육시설 사료 방치 금지 및 축사 그물망 설치
  - 농장 매일 소독 및 출입차량, 사람은 농장입구에서 소독 후 출입
  - 닭, 오리 사육농가 철새도래지 및 해외 발생국가 방문 금지


◎ 농가, 계열업체, 시군 방역담당 공무원, 축산관련 종사자에 대한 교육 홍보 강화로 현장 방역능력 향상
  - 농가 및 관련 종사자 권역별 순회 방역교육 실시(9월)
  - 오리계열업체 AI 예방대책협의회 개최(9월)
  - 시군 방역담당 공무원 구제역․AI 방역 워크샵  및 가상훈련 실시(10월)


◎ 유입가능한 모든 경로에 대한 능동적 사전 모니터링 검사 강화
  - 철새도래지 및 야생조류에 대한 유입여부 사전 검사 : 연20회
   ※ 철새도래지는 시군 보유 광역방제기를 활용 집중 소독 실시 : 주1회
  - 닭, 오리농장 등 농장 잠복 요인에 대한 사전 검사 : 연4회
  - 재래시장, 관상조류 등 유통 및 확산요인에 대한 검사 : 연2회
  - 닭, 오리사육농가에 대한 전화 및 임상예찰 : 주1회(시군 예찰팀)


◎ 도 축산위생사업소 검사기능을 강화하고 초동방역팀 상시운영 등 조기대응 체계 구축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정덕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