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서민금융시장 탈환은 역할 분리가 '관건'
저축은행과 대부업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저축은행의 서민 금융기능을 활성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9일 금융게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이어 제2금융권의 가계 대출 규제 움직임을 보이면서 저축은행들이 긴장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 대출 여파로 신용대출 등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상황에서 연체율 증가 우려가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저축은행은 대출 규모를 축소하고 부실채권관리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올해 6월 말 현재 가계대출은 8조9천156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9.3% 증가했다. 7월 상호저축은행의 신규취급액기준 연 대출 금리는 17.5%로 6월보다 2.4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최근 나이스 신용평가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3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12.2%에 달한다. 더욱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연체율도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PF 대출 등으로 저축은행의 건전성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가계부채 부실 문제까지 불거질 경우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불거지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가계 대출 증가를 억제할수록 대부업체에 반사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급전이 필요한 금융수요자들이 대부업체나 사채금융시장에 손을 뻗어 연 39% 대출금리를 부담할 경우 그에 따른 후폭풍이 예상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또한 대부업체에서 조차 연체 위험이 높은 저신용자들을 점차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올해 1분기 대부업체의 신용등급별 대출금액 분포에 따르면 8등급 이하 고객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들은 저축은행과 대부업의 역할을 확실히 구분하고 신용등급에 따라 차별을 둬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저축은행이 부동산 투자에 집중하는 투자은행(IB) 역할을 하면서 오늘날 부실 대출이 문제를 초래했다”며 “저축은행은 서민금융을 지원하는 쪽으로 방향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은 지역 서민과 중소기업 등을 집중 지원토록 하고 대부업체는 제도권 금융에 범접하기 어려운 서민들에게 무담보 신용대출 등을 한다”며 “금융수요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금융회사를 이용하는 정책적인 방안이 마련되야 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본래의 목적에 맞는 서민 금융 역할을 방안을 마련하고 철저한 감시 감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