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G 종료 또다시 무산...4G 낙오될까 발 동동

2011-09-21     김현준 기자

2G 서비스 종료 계획이 또다시 유예되면서 KT가 4G 서비스 계획에 차질을 빚는 등 사면초가에 빠지고 있다.

한번 반려됐다가 겨우 접수된 '2G서비스폐지승인계획'이 다시 유예돼 체면을 구긴데다 기존 2G서비스 이용자들의 저항도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가장 큰 고민은 차세대 통신 서비스로의 진입이 늦어지는 것이다. 서비스가 늦어지는 것은 시장에서의 낙오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어서 KT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G 서비스 이용자들, KT 성토

지난 19일 오후 KT의 '2G사업폐지계획(안)'이 방통위에 접수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네이버 '010통합반대운동본부'에는 이용자들의 성토 글이 쇄도했다.


2G 서비스 기존 이용자들이 서비스 종료에 태클을 걸고 있는 것은 미흡한 보상안 때문이다. KT가 이용자들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내놓은 신규 보상안이 기존 보상안과 크게 다르지 않아 반발을 사고 있는 것.

타사 전환자에게 7만3천원을 현금으로 지급(기존 4~5만원)한다는 점과 자사 전환자에게 25종의 무료 단말기를 제공(기존 23종)한다는 점만 약간 업그레이드된 수준이다.


그동안 2G 서비스 이용자를 줄이기 위해 KT가 펼친 '으름짱' 마케팅도 이용자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KT의 일부 텔레마케터들이 3G 서비스 전환을 수월하게 하려고 "곧 2G 서비스가 종료되기 때문에 3G로 지금 당장 전환해야 한다"라며 2G 서비스 이용자들을 낚아왔기 때문이다.

현재 '010 통합반대운동본부'에서는 KT가 불법행위를 통해 2G 서비스 종료를 종용하고 있다는 내용의 공개질의서를 방통위에 접수, 답변 결과에 따라 행정소송도 불사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방통위가 기존 이용자들의 반발을 우려해 KT의 2G 서비스 종료를 허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남아 있는 이용자 수가 얼마 되지는 않지만 그만큼 적극적인 행동도 불사할 골수 이용자들만 남은 상태여서 방통위로서는 책임을 떠맡는 것이 불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4G LTE 진입 점점 늦어지네…

방통위가 폐지 승인을 유보함으로써 KT로서는 4G LTE 상용화 계획도 큰 차질을 빚게 됐다.

방통위에 따르면 KT는 앞으로 최소 2개월 이상의 이용자 유예기간이 경과하고 가입자 전환 등이 충분히 이뤄졌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방통위에 폐지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KT의 모든 서비스 계획이 두 달 이후로 미뤄지게 된 것.

당초 KT는 2G 서비스를 종료하고 여기에 사용되던 1.8㎓ 대역 주파수를 4G LTE에 사용할 계획이었다.

이번 사태로 KT는 이미 지난 7월 4G LTE 서비스를 상용화한 SK텔레콤-LG 유플러스에 비해 최소 6개월 이상 늦어지게 됐다.

KT 관계자는 "가급적 11월 중에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면서도 "승인결정이 미뤄져 서비스 전환 일정에도 큰 차질을 빚게 됐다"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다음 주, 다음 달 초에 LTE폰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2G 서비스 종료, 왜 미뤄지나?

KT의 2G 서비스 폐지 승인 신청은 이번이 두 번째다. KT가 2G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전기통신사업법 제19조에 따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기간통신사업 폐지승인을 받아야만 한다.

지난 4월 2G 서비스 종료 폐지 승인을 방통위에 신청했으나 이용자 수(5월 기준 81만명)가 많고 통지기간이 짧았던 점을 이유로 폐지 승인이 유보됐다.

KT는 지난 7월 폐지 예정일을 당초 6월30일에서 9월30일로 변경하여 폐지 승인을 재신청했지만 2번째 고배를 마셨다.

한편, KT의 2G 서비스 가입자 수는 올 3월 말 110만명에서 5월 말 기준 81만명으로, 8월 말에는 34만명까지 줄어들었다.

[마이경제뉴스팀/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