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카드 분사 진통..금융위 승인 여부 주목
2011-09-23 임민희 기자
23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기업가치 제고'를 이유로 우리은행의 카드사업부문 분할을 추진하고 있으나 은행 측은 고객 수 이탈과 수익감소 등으로 영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더구나 은행의 다수 인력이 곧 신설될 카드사로 갈 수밖에 없어 고용보장과 처우 문제를 놓고 첨예한 갈등이 예견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카드시장에 우리카드까지 분사하게 되면 경쟁이 더욱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금융당국도 최근 은행과 카드업계의 가계대출 급증으로 규제를 한층 강화하는 상황에서 우리카드 분사를 쉽게 허용해 주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면, 신한금융지주(신한카드)와 하나금융지주(하나SK카드)에 이어 KB금융지주에까지 올해 3월 'KB카드'분사를 허용한 만큼 가뜩이나 민영화 문제로 발목이 잡혀 있는 우리금융에만 카드사 설립을 막는 것 역시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아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 16일 이사회를 열어 우리은행의 신용카드 사업부문을 오는 12월 31일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리, 독립회사를 신설키로 결의했었다.
우리금융은 이어 내년 1월 2일 설립을 목표로 금융위원회로부터 승인 및 인허가를 받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카드 분사 관련 주주총회 예정일을 11월 24일자로 공시했으나 금융당국의 예비인가 승인 여부에 따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금융위가 우리카드 분사를 허용할 경우 지난 2004년 3월 경영난으로 우리은행 신용카드 사업부문으로 흡수된 후 7년 만에 다시 독립회사로 출범하게 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신한이나 KB, 하나금융 등 4대 지주사 가운데 우리금융만 카드부문이 은행의 사업부로 속해 있는데 타지주사와의 대등한 경쟁과 수익창출을 통한 우리금융의 기업가치 향상, 은행과 카드의 비즈니스 영역 차별화 등의 차원에서 카드 분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며 분사 당위성을 피력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카드 분사를 위한 지주 TF(테스크포스)를 운영하면서 은행 직원들도 파견 나와 계속 협의를 해왔는데 은행의 자산 감소와 종업원 고용문제 등으로 은행 노조에서 일부 이견을 보이는 것 같다"며 "카드분사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큰 문제없이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은행 노조 측은 "지주 TF는 요식 행위일 뿐 단체협약상 은행이든 지주사든 사전에 이러한 사항을 충분히 협의하도록 명시되어 있는데 그런 과정들을 전혀 무시하고 이사회를 통과시켰기 때문에 원천무효"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우리은행 노조 관계자는 "2004년 우리카드가 은행에 합병될 당시 지주사가 명목상은 8천500억원을 외부차입해 정상화시켰지만 실상 우리은행의 배당금을 가져가서 빚을 갚은 것"이라며 "우리은행의 보수적인 틀 안에서 카드사업 부분이 흑자를 내고 있는데 가계부실 여신 증가 등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지주사가 또 다시 '전략적 판단'을 이유로 카드분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울러 "2002년 카드대란 당시와 지금의 경제상황이 다르지 않고 무엇보다도 우리금융의 민영화가 우선이기 때문에 민영화를 한 이후에 사업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관계자는 "우리은행 입장에서는 포지션이 줄고 인원수도 감소되는 만큼 반발할 여지가 있다"며 "카드사로 가는 직원에 대한 고용 및 처우 보장이 반드시 명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위원회 산하 노동조합 등은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에 대한 테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해 매주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예금보험공사 지분 중 일부를 국민주 방식으로 매각하고 나머지는 블록세일, 우리금융사주, 전략적 제휴가 가능한 해외은행 및 연기금 인수참여 허용 등 다양한 지분매각 방식을 논의 중"이라며 "지금은 국정감사에 국민적 관심이 쏠려 있는 만큼 오는 11월 초쯤 토론회를 열어 TFT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