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보수 업계 최고인 삼진제약 직원 월급은?

2011-09-29     안재성 기자

최근 제약업계에서 삼진제약(회장 조의환)의 납득하기 힘든 급여 산정 방식이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업계 최고인 임원 보수와 달리 직원 월급은 업계 중하위권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  삼진제약 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것으로 짐작되는 대목이다.


29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제약업계 22위권인 삼진제약은 올 상반기 조의환 회장, 최승주 회장, 이성우 사장 등 등기임원 3명에게 총 9억6천100만원, 1인당 평균 3억2천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이는 전체 제약회사 가운데 가장 높은 금액이다. 월급으로 따지면 1인당 월 보수가 웬만한 간부급 연봉인 5천만원을 넘는다는 계산이다..


업계 1위 동아제약(평균 1억9천300만원)보다도 65.8%나 많았으며, 코스피 상장 제약사 중 임원 보수가 가장 낮은 우리들제약(3천만원)과 비교하면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


대웅제약(9천300만원), LG생명과학(1억4천100만원), 제일약품(1억1천만원) 등 10대 제약사들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다.


삼진제약의 임원 보수가 이처럼 높게 책정된데 대해 업계에서는 '오너챙기기'라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등기임원인 조의환 회장은 10.6%로 삼진제약 최대주주이며, 최승주 회장도 7.5%의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오너 등 대주주나 그 친인척 비율이 높을수록 등기임원의 보수가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주주가 아닌 이성우 사장보다 조 회장과 최 회장의 보수가 더 많았을 거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회사 기준에 따라 지급했을 뿐”이라고 말을 아꼈다.


임원 보수가 높아진 또 다른 요인으로  상반기의 호실적도 꼽힌다. 


올해 상반기 삼진제약은 매출액 1천40억원, 영업이익 206억원, 반기순이익 42억원으로 전년동기(매출액 975억원, 영업이익 92억원, 반기순이익 56억원)에 비해 반기순이익만 다소 낮아지고, 나머지는 증가했다. 제약업계가 상당히 힘든 시절을 보내고 있음을 감안하면 양호한 실적이다.


그러나 10대 제약사에 비해서는  매출액과 이익 규모 자체가 크게 적어 업계 최고인 임원 보수가 크게 설득력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임원 보수와 반대로 직원 월급은 제약업계 중하위권에 불과해 대조를 이룬다..


삼진제약은 상반기 직원 급여로 1인당 평균 2천300만원, 월 환산 매월 약 380만원을 지급했다. 이는 코스피에 상장된 30개 제약사 중 14위의 기록이다.


한독약품의 상반기 임원 보수는 1억6천900만원으로 삼진제약의 절반 수준이지만, 직원 월급은 약 550만원으로 삼진제약보다 훨씬 높다. 그밖에도 유한양행(510만원), 대웅제약(490만원), LG생명과학(400만원) 등의 임원 보수도 삼진제약보다 적었지만 직원 월급은 오히려 많았다.




업계 관계자는 “삼진제약의 직원 월급은 회사 규모에 비춰 적정한 수준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임원 보수는 지나치게 높다”고 평했다.


이 때문에 “삼진제약이 직원에게는 ‘짜게' 굴면서  임원, 특히 대주주에게만 후한 인심을 쓰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한편 삼진제약은 지난 6월 30일, 국세청으로부터 약 85억원의 법인세를 추징당했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이는 국세청에서 지난 2007~2010년간 법인세 과세표준에 대해 재조사를 하면서 비용 등의 계상에서 회사의 보고를 일부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발생했다. 기업체나 자영업자에게 드물지 않은 일로 ‘탈세’라 할 만한 사안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추가징수된 법인세를 납부기간 내 납부할 경우 더 이상 법적인 문제는 생기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재정적인 타격은 뼈아프다.


85억원의 추징금은 삼진제약 자기자본(약 1천196억원)의 7.11%, 현금자산(약 130억원)의 65.3%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85억원의 현금을 갑자기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을뿐더러, 현금유동성에도 꽤 큰 타격이 가해질 전망이다.


또 이같은 추징금은 올 반기순이익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삼진제약은 1년 당기순이익을 고스란히 법인세로 징수당하게 된 것이다.(사진=연합뉴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안재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