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부실 우려에 예금자 불안 가중

2011-10-07     김문수기자

대출 연체율 상승 여파로 새마을금고 부실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면서 예금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가운데 예금자 손실에 대한 우려로 예금인출이 잇따르고 있는 모습이다.

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대출금 연체율 문제 등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예금자들의 예금인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저축은행 사태 여파가 채 가시기 전에 금융당국으로부터 특별 검사를 받는다는 소식에 예금자들의 문의전화도 쇄도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새마을금고 영업점에서 근무하는 직원 A(여.28세)씨는 “예금자들이 해지를 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린다”며 “예탁 기간을 묻는 문의전화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새마을금고는 저축은행 사태 이후 40일 동안 1조원이 넘는 예금이 빠져나간 바 있다. 금고의 7월 말 기준 대출잔액은 49조5천292억원으로 2007년 말에 비해 20조원 가량 늘었다. 이중 가계대출은 31조5천20억원으로 집계됐다. 새마을금고는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인정비율(LTV)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대출 확대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대출 급증으로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달 말 기준 3.23%에 달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연내 새마을금고에 대해 특별점검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점검대상은 규모가 크거나 경영지표가 좋지 않은 곳으로 무작위로 수십 곳을 골라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행안부는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합동점검단을 구성해 금고의 총자산 수익률 및 순자본비율 등을 점검하고, 경영지표가 부실한 곳은 특별 관리할 예정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사태로 예금자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상호금융사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는 모습”이라며 “고객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은행권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의 예금은 중앙회에서 자체적으로 적립한 별도의 기금을 통해 1인당 5천만원까지 보호되며 비상시에는 국가 차입금으로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새마을금고가 파산할 경우 예금자 보호를 받을 수 없는 1인당 5천만원 이상의 예금은 9조2천471억원에 달하며 고객수는 25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새마을금고의 소관부처인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5일까지 8개 금고에 대한 정밀검사를 벌인 결과 전반적으로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