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더위·일본 지진 여파 수산물 가격 급등
지난달 늦더위와 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제철 수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오징어와 갈치를 비롯해 고등어, 전어 등 수산물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50%가량 뛰었다.
오징어는 어획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면서 동해지역 위판장에서 20마리 기준 3만2천∼3만4천원대에 거래되고 있다. 작년 이맘때 가격(2만8원대)과 비교하면 15%가량 오른 것이다.
오징어 값이 뛰는 것은 8~9월이 오징어잡이 제철이라는 점이 무색할 정도로 동해안 어획량이 예년의 70~80%로 줄었기 때문이다. 바닷물이 더워진 것도 있지만 북측 수역에서 중국 어선이 싹쓸이 조업을 하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고 유가가 오르면서 오징어잡이 원가가 높아진 것도 한몫하고 있다.
고등어도 가격이 많이 올랐다. 현재 부산 어항에서 고등어 '200g 미만'의 가격은 1짝(23~24㎏) 기준으로 1만2천∼1만5천원으로 작년 6천∼8천원보다 50%가량 높게 형성돼 있다. 기존 200g 미만은 식당 등지에서 사용됐지만 올해에는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캔용으로 주문이 많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매장에서 판매되는 밥상용 크기인 '400g 내외'의 고등어는 전체 어획되는 고등어의 20%에 불과하여 판매 물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거래가는 1짝(23~24kg)에 11만∼16만원으로 작년(8만∼12만원)에 거래된 가격에 비해 15%선으로 상승했다.
갈치도 최근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뛰고 있다. 올해 상반기 갈치 어획량은 작년 대비 55.5% 줄어들어 시세는 지난해 대비 20% 이상 높아진 상황이다.
갈치 어획량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갈치 주산지인 제주도 인근 바다의 수온이 예년에 비해 4~5도 정도 낮아져 난류성 대표 어종인 갈치가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올해 잦은 비로 조업일수조차 줄어들어 더욱 귀해진 제주 은갈치는 말 그대로 금 갈치가 됐다.
전어 가격 또한 크게 올랐다. 현재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거래되는 1㎏당 경락 가격은 지난해 9천원보다 2배가량 오른 1만8천원 수준이다. 전어 가격이 급등한 것은 9월 중순까지 이어진 늦더위로 서남해안에서 전어 어획량이 줄어든데다 유가 상승으로 어선들이 조업을 나가지 않거나 나가더라도 높은 원가로 조업비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