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엄격한 경영진단이 우선
2011-10-13 김문수기자
새마을금고의 안전성을 둘러싼 잡음을 두고 금융권 관계자가 한 말이다. 최근 저축은행 사태 여파로 경영지표에 대한 불신이 고조된 상황에서 새마을금고에 대한 엄격한 진단과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지난해말 기준 당기순이익은 7천771억원이며 연체율은 2.99%로 양호한 수준이다.
하지만 올 들어 전국 1464곳(6월 기준) 중 77곳이 적기시정조치를 받았고 이중 72곳은 2008년 이후 3년 연속 적기시정조치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또한 108곳이 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점은 새마을금고의 부실 우려를 반증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자산이 급증한 반면 건전성과 투명성이 낮은데다 감독 사각지대에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부실사태에서 드러났듯이 상호금융회사들의 경영지표도 엄밀한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당국의 일괄 경영진단에서 저축은행이 자체적으로 산출한 경영지표가 상당수 부풀려진 것으로 드러난 만큼 상호금융회사들의 건전성 여부도 양호하다고 단정하긴 이르다.
여기에 횡령, 뇌물수수 등 내부금융사고 문제는 새마을금고에 대한 예금자들의 불신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새마을금고를 언급한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발언이 대규모 뱅크런을 부추겼다고 질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이후 전국 1463개 금고에서 이틀 동안 2조원이 넘는 자금이 인출된 이유에서다.
이에 정치권 등에서는 서둘러 새마을금고의 경영지표를 내세우며 예금자들의 금고 이용을 권장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제대로된 경영진단 조차 거치지 않고 무조건 건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단정 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추후 부실이 드러나고 피해가 가시화된다면 금융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할 것이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건전성 지표를 구하는 방법 또한 출자금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표가 좋게 나올 수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행안부가 매년 금감원과 함께 24곳을 지정해 선별적으로 검사를 진행하지만 개별 점포에 대한 건전성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눈가리고 아웅’ 하기보다 행정안전부가 강도 높은 특별점검을 추진하는 게 더 다급한 일이다. 엄격한 진단을 통해 부실 우려가 있는 곳은 과감히 걸러내는 작업도 필요하다.
금고의 정확한 경영실상을 알리고 시장 불안의 요인을 말끔히 도려낸 뒤 금고이용을 권장하는 것이 진정 금융소비자들을 위한 일일테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