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3분기 4921억원 영업손실에도 재무구조는 '안전'
LG디스플레이가 3분기 시장의 전망치를 웃도는 4천92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일 LGD는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빌딩에서 기업설명회를 열고 3분기 매출 6조2천687억원 영업손실 4천92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계절적 성수기 외에도 탄탄한 고객기반을 바탕으로 FPR 3D 및 스마트폰, 태블릿 PC용 IPS 패널 등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 확대로 매출은 전 분기 대비 4% 늘었다.
하지만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패널 가격 하락세가 지속됐고, 분기 말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환 평가손실이 발생해 5천억원에 육박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4천600억~4천800억원의 손실액을 다소 웃도는 규모다. 또 전 분기 손실액 483억원보다 10배나 늘어났다. 당기순손실은 6천87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향후 3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외화 부채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재무제표 상에 나타난 환 평가손실은 환율변동에 따라 평가이익으로 환원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LG디스플레이 권영수사장은 "시장점유율, 원가경쟁력 및 제품 우수성 측면에서 경쟁사들보다 차별화된 역량을 구축해 온 결과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의 경영 환경의 변화에도 비교적 선전했으나, 아쉽게도 분기 말 급격한 환율변동으로 외화 선수금 등에 대한 환 평가 손실이 발생해 재무제표 상 영업손실의 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원가절감, 재고 기준 및 가동률 조정 등을 통한 체질 개선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효율적인 운영 전략을 바탕으로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경우 가장 빠르게 호전된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LGD는 3분기 전 분기 대비 9% 증가한 810만 평방미터의 LCD(면적기준)를 판매했다.
매출액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LCD 패널이 47%, 모니터용 패널이 19%, 노트북PC용 패널이 14%, 스마트북용 패널이 11%, 모바일용 패널이 9%를 차지했다.
LGD는 4분기에도 여전히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고부가가치 제품을 확대하고 적극적인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 CFO 정호영 부사장은 "4분기 LG디스플레이의 출하량(평방미터 기준)은 전 분기 대비 한 자리수대 초반의 증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패널 가격의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을 확대하고 적극적인 원가절감 활동 및 철저한 Cash flow(현금 흐름) 관리를 지속적으로 전개해 장기적 관점에서 주주가치를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LGD의 3분기 말 현재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조316억원이며, 부채비율은 143% 수준으로 계속된 적자 속에서도 다소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