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 금융비리 9조원대 달해..76명 기소

2011-11-02     김문수 기자
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해온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최재경 검사장)는 9조원대에 달하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의 금융비리와 관련, 부산저축은행그룹 전·현직 임원과 정관계 인사 42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총 76명을 기소했다고 2일 발표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에 투자한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 주식을 불법 보유한 혐의(공직자윤리법 위반)로 김종창(63) 전 금융감독원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또 부산저축은행의 1천억원대 유상증자를 주선하면서 투자자에게 허위정보를 제공한 혐의(사기적 부정거래)로 장인환(52) KTB자산운용 대표, 캄보디아 부동산개발사업 자금을 유용한 혐의로 시행사 대표 등 4명을 기소했다.

금융비리에 직접 가담한 혐의로 사법처리된 부산저축은행그룹 전·현직 임원은 박연호(61) 회장과 김양(58) 부회장, 김민영(65) 부산저축은행장 등 20명이다. 이 가운데 10명을 구속기소했다.

구명로비 등에 연루된 정관계 인사들도 대거 기소됐다.

부산저축은행그룹 측 로비스트로부터 구명 청탁과 함께 억대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김두우(54) 전 청와대 홍보수석을 구속기소했다.

청와대 정무비서관 출신인 김해수(53) 한국건설관리공사 사장, 김광수(54)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차관보급), 은진수(50) 전 감사원 감사위원, 서갑원(49) 전 민주당 국회의원 등도 철퇴를 맞았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은 청와대와 금융감독원의 고위층에 줄을 대기 위해 거물급 로비스트 박태규(71.구속기소)씨를 비롯한 8명의 로비스트를 기용해 광범위하게 금품을 살포한 것으로 드러났다.

계열은행들에 대한 검사·감독 과정에서 드러난 비리를 눈감아준 전·현직 금감원 직원 8명, 국세청 공무원 7명, 감사보고서를 허위로 작성한 공인회계사 4명도 적발됐다.

현재까지 드러난 부산저축은행그룹의 금융비리는 불법대출 6조315억원(자기대출 4조5천942억원, 부당대출 1조2천282억원, 사기적 부정거래 2천91억원), 분식회계 3조353원, 위법배당 112억원 등 총 9조780억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