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금리 올려 수수료 감소 벌충해 눈총

2011-11-04     임민희 기자
시중은행들이 겉으로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표방하고 뒤로는 가계대출 금리를 인상해 이자수익을 늘리는 얌체 행각을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은행들은 과도한 수수료로 막대한 이익을 취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자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기) 수수료를 현행보다 평균 40~50% 수준으로 인하했다.

특히,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주요 은행은 자행 ATM기에서 2회 연속 인출시 50%의 수수료를 인하했고 타행 ATM 송금․인출 역시 은행별로 10~60% 인하했다.

하지만 전반적인 수수료 체계 개선과 책정기준 공개 등에 대한 핵심내용은 빠진 채 일부 수수료 항목을 깎아주는데 그쳐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돼 왔다.

더구나 은행들이 ATM기 수수료 인하로 인한 손실분을 메우기 위해 또 다시 신규 가계대출 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나타나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금융당국 차원의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3.71%(전월대비 6bp 하락)에 머문 반면 , 대출금리는 연5.76%(전월대비 8bp 하락)로 2.05%의 금리 차이를 보였다.

잔액기준 총수신금리는 연3.1%, 총대출금리도 연6.08%로 전월대비 각각 1bp 하락해 2.98%의 금리 격차를 보였다.

은행들은 수신금리와 대출금리를 모두 내린 듯 하지만 실상 가계대출 금리를 올려 실속을 차렸다.

9월말 현재 신규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 8월보다 0.08%포인트 오른 연5.66%로 지난해 3월 5.8% 이후 가장 높았다. 이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5.0%로 전월대비 0.3%포인트 높아졌다.

9월말 현재 신용대출 금리는 연7.06%로 전월대비 0.18%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연8.27%(전월대비 0.31% 증가)로 2008년(8.44%)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은행들은 가계대출 억제를 명분으로 대출금리를 올렸지만 실상 서민들의 생계와 고충을 담보로 이자놀음만 하고 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실제로 국민·우리·신한·하나·기업은행 등 5개 시중은행의 자체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10월 말 현재 4조3142억원으로 9월말보다 6.2%(2501억원) 늘어났다. 이는 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증가율 가이드라인인 0.6%의 10배에 달한다.

특히, 지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0.71%를 기록하며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가계대출 부실 우려도 심화되고 있다.

금융소비자들은 지난달 28일 국내 15개 은행들이 ATM기 인출수수료 인하를 계기로 소비자 보호 및 공공성 제고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보다 강화하겠다고 한 약속 역시 진정성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소비자와의 상생을 표방하면서 뒤로는 대출금리 인상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계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ATM기 수수료 인하로 생색을 내고 뒤로는 가계대출 금리를 올려 손실을 벌충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은행의 주요 수입원인 펀드 판매 수수료를 비롯해 이해할 수 없는 갖은 명목의 수수료 편취 등 소비자를 착취하는 은행의 과도한 영업 관행에 대해 금융당국이 제도를 마련해 엄격하게 제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이경제 뉴스팀/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