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폭행' 무마에 한화측 최소 7억 썼다
2007-06-19 뉴스관리자
특히 한화리조트 김욱기 감사는 그가 보복폭행에 동원했던 맘보파 두목인 오모씨를 캐나다 출국 하루 전날까지도 접촉했다는 정황이 잡혀 도피 과정에 깊숙이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19일 검찰 등에 따르면 보복폭행 사건의 늑장ㆍ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주임검사 서범정 형사8부장)이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전날 구속한 김 감사가 한화 측으로부터 받은 돈은 모두 5억8천만원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김 감사가 사건 직후인 3월9일부터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기 직전까지 3~4차례에 걸쳐 한화 간부로부터 경찰 등을 통해 사건을 무마하고 피해자 관리를 잘 하라는 등의 부탁을 받고 2억8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적용했다.
그러나 이는 용처가 일부 확인된 것으로 이 돈과 별도로 김 감사의 주변 인물 계좌 등으로 `행방이 묘연한' 돈 3억원이 추가로 전해졌다.
따라서 검찰이 김 회장 등을 기소할 때 한화 김모 비서실장이 김 회장 개인 돈 1억1천만원을 인출해 김 감사를 통해 맘보파 오씨에게 건넨 사실을 확인한 점을 감안하면 이번 사건 해결 등을 위해 쓰인 돈은 모두 6억9천만원이다.
검찰은 김 감사가 경찰 등 관계기관 공무원과의 친분을 활용해 김 회장 측이 사건 무마를 시도한 것으로 보고 김 감사와 돈을 건넨 한화 간부를 상대로 자금의 출처는 물론 구체적으로 어디에 쓰였는지 추적하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경찰 등으로 실제 돈이 흘러갔을 개연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이와함께 오씨가 출국하기 전날인 4월 26일은 물론 25일에도 김 감사의 사무실과 자택에서 서로 만난 것으로 보고 김 감사나 한화 측이 조직적으로 오씨의 도피를 도왔는지, 더 많은 자금이 건네졌는지 등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
김 감사는 그러나 일부 자금을 받은 사실은 시인했으나 나머지 액수 수수 및 경찰 청탁이나 로비 여부, 출국 직전 오씨를 만난 의혹 등에 대해서는 강력히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감사 외에도 비서실장 김씨 등 사법처리를 미룬 6명을 상대로 이들 자금을 김 회장이 직접 동원하라고 지시했는지, 사후에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 등을 캐고 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