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연배우없는 '태왕사신기'스페셜 방송

2007-09-11     헤럴드경제신문 제공
‘욘사마’ 배용준 주연, 400억에 가까운 제작비, 여섯 차례의 제작연기를 거친 3년의 제작 기간, 만화 ‘바람의 나라’ 표절 논란까지. 기획단계부터 화제를 몰고 왔던 초대형 판타지 드라마 ‘태왕사신기’(MBC 매주 수목 오후 9시 55분ㆍ연출 김종학, 극본 송지나)가 11일 베일을 벗는다. MBC는 첫 회 방영 하루 전인 10일 특집 방송을 통해 제작과정과 줄거리를 소개한 데 이어 목요일까지 사흘 간 드라마를 연속 편성했다.


문제는 ‘특집’이라는 제목을 단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주연배우 배용준의 인터뷰를 볼 수 없었다는 것. 특집편성된 10일 방송에서 개그맨 김용만의 진행으로 연출자 김종학 PD의 해설이 곁들여진 제작장면, 문소리, 이지아 등 동료 연기자들의 인터뷰가 전파를 탔지만 배용준의 목소리는 들을 수 없었다.


그동안 언론과의 접촉이 전혀 없었던 탓에 ‘신비주의 마케팅’이라는 비판까지 받아왔던 그는 화제의 드라마 복귀작에서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당초 주 촬영지인 제주도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태왕사신기’ 제작발표회 역시 배용준의 고사로 연출자만이 참석한 방송사 회의실 시사회로 대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명 MC인 김용만이 특집 프로그램 진행에 나서 제주도의 배용준을 찾아갔지만 끝내 배용준과의 인터뷰에는 실패했다. 방송사와 제작사가 특집 방송까지 편성하며 드라마 홍보에 나섰는데도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풀어주지는 못한 셈이다.


스페셜 방송을 통해 공개된 ‘태왕사신기’는 신화와 역사를 버무린 독특한 설정으로 기대와 의문을 동시에 남겼다. 화려한 그래픽에 어울리는 장대한 신화와 역사적 배경은 국내 드라마로서는 전례가 없는 새로운 시도다. 그러나 다소 복잡한 인물의 관계와 배경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출을 맡은 김종학 PD 역시 “더 쉽게 풀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표한 바 있다.


광개토대왕이라는 민족적 영웅을 다루다보니 역사 왜곡 논란으로부터도 자유롭지 못하다. 드라마 방영 전부터 ‘태왕사신기’의 시청자 게시판은 역사 왜곡 논쟁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일각에서는 드라마 방영을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MBC 여의도 방송센터 인근에서 집회를 열겠다는 계획까지 발표한 상태다. 김PD 역시 논란을 예상하고 있었다. 김PD는 드라마 시사회에서 “대사 한 마디도 조심스러웠다”며 “드라마의 재미와 역사적 사실 사이에서 지금도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드라마인 만큼 시청자의 관심은 높다. 특집 편성한 10일 방송은 주간 시청률 순위 15위권 내에 진입할 수 있는 높은 수치인 14%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김하나 기자(hana@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