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좋은 LG텔레콤의 '기분 나쁜' 변화

2007-09-11     헤럴드경제신문 제공
‘기분좋은 LG텔레콤의 기분나쁜 변화! 그러나 정작 소비자들은?’ 올들어 순증 가입자에서 잇따라 시장 2위 사업자인 KTF를 제치며 그야말로 잘 나가가던 LG텔레콤이 요즘 큰 시련을 겪고 있다. 그야말로 LGT의 ‘기분좋은 변화’가 ‘기분나쁜 변화’로 바뀐 것.


LGT의 3세대(G) 이동통신 서비스 리비전A(cdma-2000 EV-DO RA)도 통합식별번호 정책에 따라 ‘010’을 따라야 한다. 동일 사업자의 가입자간 전화를 걸 때 요금을 할인해 주는 ‘망내할인’ 제도도 사업자가 원하면 허용된다. 매출과 가입자면에서 열세인 LGT로는 이동통신3사 가운데, 가장 불리할수 밖에는 없다.


설상가상 LGT는 채권 투자로 손실을 입는 등 자금 운용에 문제가 발생, 현재 내부감사 중이고, 벤처 기업과 4년간 벌여온 특허 분쟁에서도 패소했다. 그야말로 잘 나가던 LGT는 안팎으로 큰 시련을 겪고 있다.


특히 LGT는 유영환 정보통신부 장관이 리비전A에 010 식별번호만 허용돼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자, “따를수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나서 향후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리비전A발’ 후폭풍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식별 번호가 그렇게 중요한가?= 010 번호통합 정책은 휴대전화 번호 맨 앞에 붙는 세자리 숫자(011, 016, 019 등)를 ‘010’으로 단일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통부가 지난 2004년 SK텔레콤의 ‘스피드011’과 같이 식별번호의 브랜드화를 막고 복잡한 번호체계를 단순화하기 위해 도입했다.


LGT는 리비전A의 경우 기존 3G서비스와는 다른 망을 사용, 법적으로도 리비전A 이용자들에게는 종전에 쓰던 번호를 그대로 쓸 수 있어, ‘019’등 ‘01X’번호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반면 경쟁업체인 KTF는 정부의 통합식별번호 정책과 역차별 문제까지 거론하며, 리비전A도 010를 사용해야 한다고 반박해 왔다.


그럼 ‘010’, ‘01X’ 등의 식별 번호가 그렇게 중요한가. LGT측은 “리비전A 식별번호가 010만 허용되면 신규 시장의 절반을 잃게 된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유영환 정통부 장관의 생각은 다르다.


유 장관은 “010으로 바뀐다고 해도 예전 번호로도 수신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소비자입장에서도 큰 불편은 없을 것 ”이라면서 “단기적인 어려움이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010번호로 통합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리비전A발 후풍폭, 과연 소비자들은 안중에 있나?= LGT는 모두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리비전A 식별번호와 관련 정부와 강력한 싸움을 전개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특히 LGT는 11일 정통부에 약관 신고와 동시에 기존 2G 식별번호로 사용이 가능한 리비전A 휴대폰 2종을 내놓았다. 리비전A에 대한 정부의 번호관리세칙이 정해지기 이전에 판매되는 것으로 010 뿐아니라 기존 2G번호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자칫하다가는 소비자들이 골탕을 먹을수도 있다는데 있다. 번호 세칙수정까지는 빨라야 약 2달 정도가 소요될 전망이다. 번호 세칙 수정이전 자신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줄 알고 리비전A에 가입한 고객들은 결국 나중에 번호를 바꿔야하는 일이 발생할수 있다.


그렇다고 세칙 수정 이전 가입한 고객들에게만 그대로 번호를 유지하도록 예외 사항을 두는 것도 통합식별 번호정책과 맞지 않는 일이다.


LGT측은 “향후 발생될 소비자들의 불편은 전적으로 정통부에 책임이 있다”면서 “우리로선 현재의 번호세칙에 따라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편을 막기 위해서는 정통부가 식별번호에 대한 입장을 일찌감치 정리해야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일 사업자의 가입자간 전화를 걸 때 요금을 할인해 주는 ‘망내할인’ 도 사업자가 원하면 허용, 같은 이동통신 회사 가입자간의 통화요금이 지금보다 내려 갈 전망이다.


그동안에는 후발 사업자 보호를 위해 정부가 망내 할인을 막아 왔다. 유 장관은 “망내 할인 제도를 통해 요금 인하를 유도할 계획”이라며 “이젠 충분히 시장 여건이 조성돼 있어, 요금경쟁 촉진 차원에서도 정부가 망내 할인제도를 막을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박영훈 기자(park@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