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고발 매체와 함께 집단분쟁에 대응할 것"

박명희 신임 한국 소비자원 원장 취임 기자회견서 밝혀

2007-10-09     백상진기자
"9월초 집단분쟁조정 제1호건에 대한 조정결정이 있었고 이후 4∼5건의 사건이 추가로 접수돼 진행되고 있다. 제도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고발 프로그램 및 인터넷 안티(Anti-)사이트, 동호회 등과 연계해 집단 피해사실을 파악해 나가겠다"

"소비자의 선택을 통해 좋은 제품을 만드는 회사는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회사는 퇴출되도록 하는 것, 소비자가 주도적으로 컨트롤(조정)하는 사회가 소비자 주권 사회이다"

박명희 신임 한국소비자원 원장은 8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들이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소비자원의 역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장은 "시장경쟁 체제 하에서 소비자 주권의 확립은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전체 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러한 의미에서 소비자의 책임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보호 보다는 스스로의 선택에 대해 자율적으로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소비자원은 소비자가 자주적인 의사결정의 주체로서 합리적인 의식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소비자 교육과 정보제공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소비자단체.학계 등과 연계해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함께 모아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종합정보망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율불만처리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원이나 소비자단체는 기업과 소비자 간 문제가 되는 부분만 해결하는 것이 선진국으로 가는 방향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정확한 지적을 해야 기업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서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제안이 필요하며 공정하고 윤리적인 소비생활도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국제 소비자분쟁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해 그는 "한.중.일 소비자정책협의회를 아시아 소비자문제협의체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면서 "중국과는 국제 소비자분쟁해결(CCDR) 프로그램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조만간 체결할 예정이며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이미 참여 의사를 밝혀온 상태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세계화로 인한 소비자문제 등에 대해서 공동연구 등을 통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박 원장은 덧붙였다.

박 원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아시아 국가들에서 물건만 팔 것이 아니라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소비자원이 소비자 정책이나 후생 관련 프로그램을 현지 국가들에게 소개해 나갈 것"이라며 "현지 소비자들도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우리 기업들의 진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바로가기>